광고

Penelope

충실한 아내; 미덕의 상징

Penelope 어원

Penelope

여성 고유명사, "오디세이"에서 충실한 아내의 이름, 그리스어 Pēnelopē, Pēnelopeia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마도 pēne "보빈의 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pēnos "거미줄"과 동일 어원으로 라틴어 pannus "천"과 관련이 있다 (참조 pane (n.)). 그러나 Beekes는 오히려 pēnelops "목화 또는 색깔 있는 목을 가진 오리나 거위"와의 연결을 제안한다. 영어에서는 미덕 있는 아내의 전형으로 사용되었다 (1580년), 라틴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Penelope, the daughter of Icarus, was a rare and perfect example of chastity. For though it was generally thought that her husband Ulysses was dead, since he had been absent from her twenty years; yet, neither the desires of her parents, nor the solicitations of her lovers, could prevail on her to marry another man, and to violate the promises of constancy which she gave to her husband when he departed. And when many noblemen courted her, and even threatened her with ruin, unless she declared which of them should marry her, she desired that the choice might be deferred till she had finished the piece of needle-work about which she was then employed: but undoing by night what she had worked by day, she delayed them till Ulysses returned and killed them all. Hence came the proverb, "To weave Penelope's web;" that is, to labour in vain; when one hand destroys what the other has wrought. [Andrew Tooke, "The Pantheon, Representing the Fabulous Histories of the Heathen Gods and Most Illustrious Heroes, in a Plain and Familiar Method," London: 1824]
이카로스의 딸 페넬로페는 순결의 드문 그리고 완벽한 예시였다. 그녀의 남편 유리시스가 사라진 지 20년이 되었기 때문에 그가 죽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었지만, 그녀의 부모의 욕망이나 연인들의 간청도 그녀가 다른 남자와 결혼하고 남편이 떠날 때 약속한 충실함의 약속을 어기는 것을 강요할 수 없었다. 많은 귀족들이 그녀를 구혼했고, 심지어 그녀에게 어떤 남자와 결혼할지 선언하지 않으면 파멸시키겠다고 위협하기도 했으나, 그녀는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바느질 작품을 끝낼 때까지 선택을 미루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그녀는 낮에 만든 것을 밤에 풀어내며 그들을 유리시스가 돌아와 모두 죽일 때까지 지연시켰다. 그래서 "페넬로페의 거미줄을 짜다"라는 속담이 생겼다; 즉, 헛된 노력을 의미하며, 한 손이 다른 손이 만든 것을 파괴할 때를 일컫는다. [앤드류 툭, "The Pantheon, Representing the Fabulous Histories of the Heathen Gods and Most Illustrious Heroes, in a Plain and Familiar Method," 런던: 1824]

연결된 항목:

13세기 중반부터 "의복, 망토, 겉옷; 의복의 일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건물의 측면, 벽의 일부"라는 뜻으로도 쓰였습니다. 이는 고대 프랑스어 pan "부분, 조각, 패널" (11세기)에서 유래되었으며, 라틴어 pannum (주격 pannus) "천 조각, 의복"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된 것입니다. 이 단어는 아마도 인도유럽조어 뿌리 *pan- "직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고딕어 fana "천 조각," 그리스어 pēnos "거미줄," 고대 영어 fanna "깃발" 등과 같은 단어들의 출처이기도 합니다. De Vaan은 "만약 그리스어와 독일어 단어들이 관련이 있다면, 아마도 알려지지 않은 출처에서 차용된 단어일 것입니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14세기 후반부터는 "벽의 일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또한 "장식적인 걸이, 덮개"라는 뜻으로도 쓰였으며, 1400년경에는 "침대 덮개"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이 단어의 일반적인 개념은 "표면의 뚜렷한 부분이나 조각"입니다. "창문에 끼워진 유리 조각"이라는 의미는 15세기 중반부터 확인됩니다.

    광고

    Penelope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Penelope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Penelope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