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나 종소리," 1823년, 라틴어 tintinnabulum "종"에서 유래, tintinnare "울리다, 징징거리다" (라틴어 tinnire "울리다"의 중복형, 궁극적으로 모사적) + 도구격 접미사 -bulum에서 유래.
라틴어 단어는 14세기 후반부터 영어에서 사용되었다. 초기 영어 형식은 형용사 tintinnabulary (1715); tintinnabular (1726, 익살스러운); tintinnabulous (1791); tintinnabulant (1812, 프랑스어에서 유래); tintinnabulatory (1827)와 명사 tintinnabulum "작은 종" (14세기 후반)였다.
AMAZING FEAT.
TINTINNABULOUS INTREPIDITY, OR SCENES OF BELL-RINGING
[From the Telegraph]
LAST week the society of Treasury Youths rang a peal of 6469 majors, bob-majors, and triple-bobs,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hanges: (etc.) ["Spirit of the Public Journals," 1802]
놀라운 feat.
TINTINNABULOUS INTREPIDITY, OR SCENES OF BELL-RINGING
[전신에서 발췌]
지난주 재무청 청소년 협회는 6469명의 주요한 종소리, 밥-메이저 및 트리플-밥으로 구성된 종소리를 울렸다: (기타) ["Spirit of the Public Journals,"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