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영어에서 "사마리아의 토착민이나 주민"을 의미하며, 이는 고대 팔레스타인의 한 지역인 사마리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단어는 후기 라틴어 Samaritanus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다시 그리스어 Samareitēs에서 파생된 것으로, Samareia (참조: Samaria)를 의미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이 지역에서 추방된 후, 아시리아 왕에 의해 비유대인들이 그 도시들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Originally idolaters they soon began to worship Jehovah, but without abandoning their former gods. They afterward became monotheists, and observed the Mosaic law very strictly, but with peculiar variations. About 400 B. C. they built a temple on Mount Gerisim, which was destroyed 130 B. C. They began to decline toward the close of the fifth century after Christ. They still exist, bat are nearly extinct. [Century Dictionary, 1897]
원래 우상 숭배자였던 그들은 곧 여호와를 숭배하기 시작했지만, 이전의 신들을 버리지는 않았습니다. 이후 그들은 유일신 신앙을 갖게 되었고, 모세의 율법을 매우 엄격하게 지켰지만 독특한 변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원전 400년경, 그들은 게리심 산에 성전을 세웠으나, 기원전 130년에 파괴되었습니다. 그들은 기원후 5세기 말경부터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존재하지만 거의 멸종 상태입니다. [Century Dictionary, 1897]
비유적인 의미로 "자선이나 선행을 베푸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법은 성경의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1630년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형용사로는 14세기 후반부터 나타났습니다. 관련된 단어로는 Samaritanism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