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6년, "고향이나 모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병적인 갈망, 질병으로 간주되는 심한 향수병," 현대 라틴어, 1688년 바젤 대학교의 학자 요하네스 호퍼(1669-1752)가 독일어 heimweh "향수병"의 번역으로 이 주제에 대한 논문에서 만든 용어 (참조: home + woe).
그리스어 algos "고통, 슬픔, 고뇌" (참조: -algia) + nostos "귀환," neomai "어떤 장소에 도달하다, 탈출하다, 돌아가다, 집에 도착하다"에서 유래, Watkins에 따르면 PIE *nes-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가다" (고대 노르드어 nest "여행을 위한 음식," 산스크리트어 nasate "접근하다, 합류하다," 독일어 genesen "회복하다," 고딕어 ganisan "치유하다," 고대 영어 genesen "회복하다"와 동족어).
프랑스어 nostalgie는 1754년 프랑스 군대의 의학 매뉴얼에 등장. 원래는 스위스인을 언급하며 그들에게 특유하고 종종 치명적이라고 여겨졌으며, 그 자체의 작용이나 상처 또는 질병과의 결합으로 인한 것이라고 함.
[Dr. Scheuzer] had said that the air enclosed in the bodies of his countrymen, being in Æquilibrium with a rare and light air that surrounds them, was overloaded in lower countries with an air more dense and heavier, which compressing and obstructing the capillary vessels, makes the circulation slow and difficult, and occasions many sad symptoms. [Account of the publication of "Areographia Helvetiæ" in New Memoirs of Literature, London, March 1726]
[Dr. Scheuzer]는 그의 동포들의 몸에 담긴 공기가 그들을 둘러싼 희귀하고 가벼운 공기와 Æquilibrium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낮은 나라에서는 더 밀도 높고 무거운 공기로 과부하되어 모세혈관을 압축하고 막아 순환을 느리고 어렵게 하여 많은 슬픈 증상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신간 문학 회고록에서 "Areographia Helvetiæ"의 출판 계정, 런던, 1726년 3월]
1830년대에는 모든 강렬한 향수병에 사용되었으며: 선원, 죄수, 아프리카 노예의 향수병. "가방피리는 때때로 해외에서 복무하는 스코틀랜드 연대에서 같은 효과를 낼 때가 있었다" [Penny Magazine," 1840년 11월 14일]. 이는 "실용 의학 백과사전" [런던, 1833년, 세 명의 M.D.가 편집]에서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집과 친구들, 젊은 시절의 장면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갈망에 사로잡힐 때 발생하는 우울한 증상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풍토병" 목록에 포함된다.
주로 군사 의학 진단이었으며,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부에 의해 심각한 의학적 문제로 여겨졌다:
In the first two years of the war, there were reported 2588 cases of nostalgia, and 13 deaths from this cause. These numbers scarcely express the real extent to which nostalgia influenced the sickness and mortality of the army. To the depressing influence of home-sickness must be attributed the fatal result in many cases which might otherwise have terminated favorably. ["Sanitary Memoirs of the War," U.S. Sanitary Commission, N.Y.: 1867]
전쟁의 첫 두 해 동안 향수병 사례가 2588건 보고되었고, 이로 인한 사망자가 13명이었다. 이 숫자는 향수병이 군대의 질병과 사망률에 미친 실제 영향을 거의 표현하지 못한다. 향수병의 우울한 영향은 다른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종료될 수 있었던 많은 경우의 치명적 결과에 기여해야 한다. ["전쟁의 위생 회고록," U.S. Sanitary Commission, N.Y.: 1867]
과거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전이된 의미(현대의 주요 의미)는 1920년 기록되었으며, 아마도 프랑스 문학에서 nostalgie의 이러한 사용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먼 장소에 대한 그리움은 시간의 분리를 필연적으로 수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