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년경, ipocrisie, "덕이나 선을 가장하는 죄"라는 의미로 사용됨. 고대 프랑스어 ypocrisie에서 유래, 후기 라틴어 hypocrisis "위선"과 "한 사람의 발화와 제스처를 모방함"에서 유래, 아티카 그리스어 hypokrisis "무대에서 연기하기; 가장," 은유적으로 "위선," hypokrinesthai "역할을 맡다, 가장하다," 또한 "대답하다"에서 유래. hypo- "아래" (참조 hypo-) + 중간태 krinein "체로 걸러내다, 결정하다" (PIE 어근 *krei- "체로 걸러내다," 따라서 "구별하다, 식별하다"에서 유래). 아티카 그리스어에서의 의미 변화는 "점차적으로 분리하다"에서 "대답하다"로, "무대에서 동료 배우에게 대답하다"로, "역할을 맡다"로 발전함. 영어에서는 16세기에 h-가 복원됨.
Hypocrisy is the art of affecting qualities for the purpose of pretending to an undeserved virtue. Because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and societies most often live down to the suspicions about them, hypocrisy and its accompanying equivocations underpin the conduct of life. Imagine how frightful truth unvarnished would be. [Benjamin F. Martin, "France in 1938," 2005]
위선은 자격이 없는 미덕을 가장하기 위해 품성을 가장하는 예술이다. 개인과 기관, 사회가 가장 흔히 그들에 대한 의심에 부응하여 살아가므로, 위선과 그에 수반되는 모호함이 삶의 행동을 뒷받침한다. 버선 없는 진실이 얼마나 무서울지를 상상해 보라. [Benjamin F. Martin, "France in 193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