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magpie

까치; 수다스러운 새; 호기심 많은 새

magpie 어원

magpie(n.)

수다스러움, 탐욕, 호기심, 모방으로 유명한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흔한 새의 일반적인 이름, 약 1600년, 이전에는 단순히 pie (13세기 중반)로 불렸다.

첫 번째 요소는 Mag, Margaret의 애칭으로, 오랫동안 여성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특성을 나타내는 속담과 속어 영어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이 경우 "한가한 수다"와 관련이 있다 (초기 15세기 Magge tales "터무니없는 이야기, 헛소리"처럼; 또한 프랑스어 margot "까치"와 비교, Margot, Marguerite의 애칭에서 유래). Margaret라는 이름과 그 축약형인 Mag, Madge, 축소형 Maggie는 오랫동안 새에게 친숙하게 적용되었다. 까치(pies)는 중세 영어에서 수다스러움으로 속담처럼 사용되었으며 (jay도 마찬가지), 따라서 pie는 수다쟁이 또는 고자질쟁이, 또한 "교활한 사람, 정보 제공자" (14세기 후반) 그리고 15세기-16세기에 wily pie (또는 wyly pye)는 "교활한 사람"을 의미했다.

두 번째 요소인 pie는 새의 이전 이름으로, 구프랑스어 pie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 pica "까치" (스페인어 pega의 근원)에서 유래, 여성형 picus "딱따구리"에서, 인도유럽어 뿌리 *(s)peik- "딱따구리, 까치" (움브리아어 peica "까치," 산스크리트어 pikah "인도 뻐꾸기," 고노르웨이어 spætr, 독일어 Specht "딱따구리"의 근원)에서 유래; 아마도 부리의 뾰족함을 나타내는 인도유럽어 뿌리 *pi-에서 유래. 까치의 긴, 뾰족한 꼬리 때문에 까치에 대한 적용이 있을 수 있다.

이 새들은 훔치고 저장하는 것으로 속담처럼 알려져 있으며, 무분별한 식욕을 가지고 있다 (pica (n.2) 참조); 말을 가르칠 수 있으며, 중세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Whan pyes chatter vpon a house it is a sygne of ryghte euyll tydynges. [1507]
까치가 집 위에서 수다를 떨면 이는 매우 나쁜 소식의 징조이다. [1507]

까치의 수를 세어 점치는 것은 1780년경 링컨셔에서 입증되었으며; 이 운율은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한 마리는 나쁘고 두 마리는 좋다는 점에서만 일관성이 있다.

The councils which magpies appear to hold together, at particular seasons, commonly called "folkmotes," are associated in the minds of many with superstitious and ominous notions. The innocent objects of terror, while meeting together most probably for the purpose of choosing mates, are supposed to be conspiring and clubbing their wits, for the weal or woe of the inhabitants of the neighbouring village. If they are of an even number and carry on their cheerful, noisy chatter, it is supposed to betoken good to old and young—but if there is an odd magpie perched apart from the rest, silent, and disconsolate, the reverse of this is apprehended, and mischievous consequences are inevitably expected. [The Saturday Magazine, Jan. 23, 1841]
특정 계절에 까치가 함께 모여 있는 것으로 보이는 회의는 일반적으로 "folkmotes"라고 불리며,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미신적이고 불길한 개념과 관련이 있다. 아마도 짝을 선택하기 위해 함께 모였을 때 무고한 공포의 대상이지만, 이웃 마을 주민들의 행복이나 불행을 위해 음모를 꾸미고 지혜를 모으는 것으로 여겨진다. 짝수로 모여 즐겁고 시끄러운 수다를 떨면 노인과 젊은이 모두에게 좋은 징조로 여겨지지만, 홀수의 까치가 나머지와 떨어져 앉아 조용하고 우울해 보이면 그 반대가 우려되며, 장난스러운 결과가 필연적으로 예상된다. [The Saturday Magazine, Jan. 23, 1841]

연결된 항목:

1969년, 자동차 바퀴에 대해 언급할 때 "made of magnesium alloy"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magazine,의 약어로는 1801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식용에 부적합한 물질에 대한 병적 갈망” (예: 분필), 1560년대, 중세 라틴어 pica “까치”에서 유래 (참조: pie (n.2)). 이는 아마도 그리스어 kissa, kitta “까치, 제이” 또는 “허위 식욕”을 번역한 것일 수 있습니다. 연결된 개념은 이 새들이 가리지 않고 먹는 행동일 것입니다. geophagy와 비교해 보세요.

As the magpie eats young birds, here is the bird to keep the sparrows' numbers in check, for it will live in towns and close to dwellings—just the localities sparrows frequent. The magpie's appetite is omnivorous, and it is charged with at times killing weakly lambs, and varying its diet by partaking of grain and fruit; but I never at Home heard any complaints of this bird from the farmers, whilst the gamekeepers had not a good word for it. The bird will eat carrion, so if one were disturbed taking a meal from a dead lamb it would probably be blamed for its death, which may have occurred from natural causes. [A. Bathgate, "The Sparrow Plague and its Remedy," in Transactions of the New Zealand Institute, 1903]
까치는 어린 새들을 먹기 때문에, 이 새가 참새의 수를 조절해 줄 것입니다. 왜냐하면 까치는 도시와 주거지 근처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바로 참새들이 자주 찾는 장소들입니다. 까치의 식성은 잡식성이며, 때때로 약한 새끼 양을 죽이고 곡물과 과일을 먹으며 식단을 다양화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홈에서 농부들로부터 이 새에 대한 불만을 들은 적은 없었습니다. 반면 사냥꾼들은 이 새에 대해 좋은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까치는 시체를 먹기도 하므로, 만약 누군가 죽은 새끼 양에서 식사를 하다가 방해받는다면, 그 양의 죽음이 자연적인 원인 때문임에도 불구하고 까치가 원인으로 지목될 가능성이 큽니다. [A. Bathgate, “참새 전염병과 그 치료법,” 뉴질랜드 학회지, 1903]
광고

magpie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magpie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magpie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