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독일어 Narzissismus에서 유래, 1899년 독일 정신과 의사 Paul Näcke(1851-1913)가 "Die sexuellen Perversitäten"에서 처음 사용. 이 용어는 1898년 Havelock Ellis에 의해 제안된 비교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리스어 Narkissos에서 유래, 이는 신화 속에서 자신의 모습에 반해 사랑에 빠진 아름다운 청년의 이름이다(오비디우스, "Metamorphoses," iii.370). 그는 샘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해 사랑에 빠졌고, 결국 꽃 narcissus(참나리)로 변해버렸다. Narcissus가 자기 사랑의 상징으로 등장한 것은 1767년부터 확인된다. Coleridge는 1822년 편지에서 이 단어를 사용했다.
But already Krishna, enamoured of himself, had resolved to experience lust for his own self; he manifested his own Nature in the cow-herd girls and enjoyed them. [Karapatri, "Lingopasana-rahasya," Siddhanta, II, 1941-2]
그러나 이미 Krishna는 자신을 사랑하게 되어, 자신의 욕망을 경험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자신의 본성을 목동 소녀들 속에서 드러내며 그들을 즐겼다. [Karapatri, "Lingopasana-rahasya," Siddhanta, II, 1941-2]
가끔 narcism으로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