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이 가득하고, 음침한,” 15세기 후반, 고대 프랑스어 tenebros “어둡고, 음침한” (11세기, 현대 프랑스어 ténébreux)에서 유래, 라틴어 tenebrosus “어두운”에서, tenebrae “어둠”에서, de Vaan에 따르면, 초기 *temebrai에서 이탈하여, PIE 어근 *temsro- “어두운” (형용사)에서, *temos- “어둠”에서, temerity를 참조.
관련: Tenebrosity “어둠, 음침함, 불투명함” (15세기 초); tenebrity “어두운 성질” (1792); tenebrious “어둠에 관한, 어두운 성질의” (1590년대). Tenebrose “색이 어두운”은 15세기 초에 증명되었으며, 라틴어 tenebrosus에서 유래; 1670년대에는 “도덕적 또는 정신적으로 어두운”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Tenebrific “어둠을 생성하는”은 1773년에 사용되었으며, tenebrificating (1743)에서 더 일찍 암시되었다.
In the Spectator, mention is made of a philosopher, Mr. Weems of Lathockar, who maintained that darkness was not simply the absence of light, but that certain heavenly bodies, termed by him Tenebrific Stars, emitted rays of positive darkness, which produced "NIGHT." [footnote in Thomas Bell, "Popular Opinions," Glasgow, 1818]
Spectator에서, Lathockar의 철학자 Mr. Weems가 어둠이 단순히 빛의 부재가 아니라, 그가 Tenebrific Stars라고 부른 특정 천체들이 긍정적인 어둠의 광선을 방출하여 “NIGHT”를 생성한다고 주장했다는 언급이 있다. [Thomas Bell, "Popular Opinions," Glasgow, 1818의 각주]
Tenebrer “어둠의 지배자” (15세기 초)는 사탄의 별명이었다; Lucifer와 비교. Tenebrescence “어두워지는 경향”은 1946년 레이더 기술자들의 전문 용어로 사용되었다. Blount (1656)는 tenebrion “낮에 보이지 않는 자, 잠복자, 밤 도둑; 또한 밤의 정령, 호박귀신”을 기록했다.
Tenebrae (“어둠”)는 성주간 동안 가톨릭 교회의 특정 의식에서 사용되며, 이 계절의 영적 어둠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