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Blighty

영국; 고향; 조국

Blighty 어원

Blighty

영국 군인이 "영국"이나 "잉글랜드"를 비공식적이고 (보통은) 애정 어린 표현으로 부르는 용어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널리 알려졌지만 1896년 인도에서 이미 사용된 바 있습니다. 이는 힌디어 bilayut, billait에서 유래된 것으로, 아랍어 wilayat "왕국, 지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단어는 남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먼 고향을 가리킬 때 사용했으며,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럽"을 지칭하는 데 쓰였습니다.

WHEN Johnnie comes frae Blighty you can see it in his face,
     For its jist a long's an elder's whan he's gaun tae say a grace;
He lies spare upon his charpoy, an' he never says a word,
     Thats a specimen o' a'Johnnie whan he joins the Ninety-Third.
["L. Ferguson," first verse of Johnnie frae 'Blighty,'" in The Thin Red Line, The Regimental Paper of the 2nd Batt. (Princess Louise's) Argyll & Sutherland Highlanders, Nowshera, Peshawar, India, September 1896]
존니가 블라이티에서 돌아오면 그의 얼굴에서 알 수 있어,
     마치 노인이 기도를 하려 할 때처럼 말이야;
그는 차르포이에 누워 있지만, 한 마디도 하지 않아,
     그게 바로 제93여단에 합류한 존니의 모습이야.
[“L. Ferguson,” Johnnie frae 'Blighty'의 첫 번째 연, The Thin Red Line, 제2대대 (프린세스 루이즈의) 아가일 & 서더랜드 하이랜더 연대지, 노우세라, 페샤와르, 인도, 1896년 9월]
광고

Blighty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Blighty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Blighty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