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omania 뜻
자기중심적 성향; 자기과시 욕구; 자아도취
egomania 어원
egomania(n.)
"자기 중심적 집착"이라는 표현은 1825년에 영국 비평가 윌리엄 시드니 워커가 쓴 편지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1852년에 출판되었습니다. 이는 ego와 mania의 결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1890년대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고, 독일어 Ich-Sucht를 번역한 것입니다.
[The egomaniac, as opposed to the megalomaniac,] does not regard it as necessary to dream of himself as occupying some invented social position. He does not require the world or its appreciation to justify in his own eyes himself as the sole object of his own interest. He does not see the world at all. Other people simply do not exist for him. The whole 'non-Ego' appears in his consciousness merely as a vague shadow or a thin cloud. The idea does not even occur to him that he is something out of the common, that he is superior to other people, and for this reason either admired or hated ; he is alone in the world ; more than that, he alone is the world and everything else, men, animals, things are unimportant accessories, not worth thinking about. [Max Nordau, "Degeneration," English translation, 1895]
[자기애적 성격장애 환자와 달리,] 자아도취자는 자신이 어떤 허구의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꿈꾸지 않습니다. 그는 세상이나 타인의 인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직 자신만이 자신의 관심의 유일한 대상임을 스스로 정당화합니다. 그는 세상을 전혀 보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에게 존재하지 않는 존재일 뿐입니다. 그의 의식 속에서 '비자아(non-Ego)'는 단지 희미한 그림자나 얇은 구름처럼 나타날 뿐입니다. 그는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해서 존경받거나 미움을 받을 이유가 있다고 믿지 않습니다. 그는 세상에서 홀로 존재하며, 더 나아가 그는 세상 그 자체이고, 다른 모든 것들, 즉 사람, 동물, 사물은 그저 중요하지 않은 부수적인 존재일 뿐입니다. [막스 노르다우, "퇴화론," 영어 번역, 1895년]
노르다우의 책은 그 당시 많은 독자들에게 읽히고 논의되었으며, 그의 이름과 이 단어가 연관되었습니다 (예: The Agora, 1895년 7월).
워커의 사용을 제외하면, 1895년 이전에 이 단어가 인쇄물에 등장한 것은 주로 심리학적 문제를 다루는 의학 분야에서였습니다:
The most frequent, yet the most extraordinary of these perversions of temper, are seen in young females. It is a species of aberration of the intellect, but short of insanity, real enough, but exaggerated, fictitious, factitious, and real at the same time. It frequently has its origin in dyspepsia, hysteria, or other malady, and in emotion of various kinds, such as disappointment, vexation, &c. Its object is frequently to excite and to maintain a state of active sympathy and attention, for which there, is as it were, a perpetual, morbid, and jealous thirst. It was rather aptly designated, by the clever relative of one patient, an ego-mania. [Marshall Hall, M.D., "Practical Observations and Suggestions in Medicine," London, 1845]
이러한 기분의 가장 흔하면서도 가장 특별한 변형은 젊은 여성들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이는 지능의 일종의 일탈이지만, 정신병에는 이르지 않는 상태로, 실제로 존재하지만 과장되고 허구적이며 동시에 현실적인 것입니다. 종종 소화불량, 히스테리 또는 다른 질병, 그리고 실망, 짜증 등의 다양한 감정에서 비롯됩니다. 그 주된 목적은 적극적인 동정심과 주의를 불러일으키고 유지하는 것으로, 마치 끊임없는 병적이고 질투 어린 갈증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 환자의 영리한 친척이 이를 아주 적절하게 ego-mania라고 명명했습니다. [마샬 홀, M.D., "의학에서의 실용적 관찰과 제안," 런던, 1845년]
연결된 항목:
egomania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egomania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egom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