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년경, "하인, 공무원;" 1300년경, "기악 음악가, 가수 또는 이야기꾼;" 고대 프랑스어 menestrel "연예인, 시인, 음악가; 하인, 노동자;" 또한 "무능한 사람, 악당"에서 유래, 중세 라틴어 ministralis "하인, 광대, 가수," 후기 라틴어 ministerialem (주격 ministerialis) "황제 가정의 공무원, 공식적인 임무를 가진 자"에서 유래, ministerialis (형용사) "공무원의," 라틴어 ministerium (참조 ministry)에서 유래. 연예인과의 연결된 개념은 궁정 직책으로서의 광대, 음악가 등.
"음악가"라는 특정한 의미는 고대 프랑스어에서 발전하였고, 노르만 정복은 이 계층을 잉글랜드로 들여왔으며, 그곳에서 원주율 gleemen과 동화되었다. 그러나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영어에서는 후원자를 즐겁게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가수, 이야기꾼, 저글러, 광대)을 모두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들의 사회적 중요성과 명성은 잉글랜드에서 악화되었고,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그들이 공공의 폐해로 간주되었다. 18세기 영어에서만 그 단어가 역사적 의미로 "중세의 서사시 또는 서정시를 노래하며 현악기 accompaniment을 하던 음악가"로 제한되었다. troubadour, jongleur와 비교.
1843년 미국 영어에서 "흑인 멜로디"의 노래자와 "플랜테이션 생활"을 묘사하는 사람들, 보통 흑인 얼굴 분장을 한 백인 남성들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 행위 자체는 183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such a troupe or band is the middle-man or interlocutor, who leads talk and gives the cues, and the two end-men, who usually perform on the tambourine and the bones, and between whom the indispensable conundrums and jokes are exchanged. As now constituted, a negro-minstrel troupe retains but little of its original character except the black faces and the old jokes. [Century Dictionary, 1895]
이러한 공연단의 특징은 중간 역할을 하는 대화자 또는 대화 인물로, 대화를 이끌고 신호를 주며, 보통 탬부린과 뼈를 연주하는 두 끝 역할의 남성들 사이에서 필수적인 수수께끼와 농담이 교환되는 것이다. 현재 구성된 흑인 민스트럴 공연단은 검은 얼굴과 오래된 농담을 제외하고는 원래의 특성을 거의 유지하지 않는다. [Century Dictionary, 1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