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경, plesen, "(신을) 기쁘게 하다, 달래다, 진정시키다"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 plaisir "기쁘게 하다, 즐거움을 주다, 만족시키다"(11세기, 현대 프랑스어 plaire, 형태는 아마도 faire의 유사성 덕분)에서 유래, 라틴어 placere "수용될 수 있다, 좋아하다, 승인하다"와 관련, placare "달래다, 진정시키다"(스페인어 placer, 이탈리아어 piacere의 출처)에서 유래, 인도유럽어조합어 *pl(e)hk- "동의하다, 쾌적하다"에서 유래, 토카리안어 plak- "동의하다", plaki "허락"의 동의어.
14세기 중반부터는 "만족시키다 (사람을), 동의하다, 만족스럽거나 수용 가능하다; 만족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영어에서 "기쁘게 하다, 매혹하다 (누군가를), 즐겁고, 재미있게 하다, 기분 좋은 감정을 자극하다"라는 의미는 14세기 후반부터. "기쁘다, 만족하다"라는 의미의 역사용은 like (v.)의 발전과 평행함.
14세기 중반부터 it을 사용하는 비인칭 구문이 일반적이며, 원래는 여격을 따름. "좋아하다, 선택하다, 적합하다고 생각하다"(do as you please)라는 자동사적 의미는 1500년경부터 기록됨; 명령형 사용(please do this)은 1620년대부터 기록됨 (please to로), 아마도 if it please (you) (14세기 후반)에서 단축된 형태였을 것.
This impersonal construction with the indirect object of the person has given way in more familiar use to a personal construction, the original dative you, in if you please, for example, being now taken as the subject. The word in this sense was formerly common in polite request, may it please you, or if it please you, or, elliptically, please you : a mode of speech still common in addressing a judge or persons of rank or position : as, may it please the court ; if it please your honor ; please your worship ; etc. [Century Dictionary]
이 비인칭 구문은 더 친숙한 사용에서 개인 구문으로 대체되었으며, 원래의 여격 you는 if you please에서 예를 들어 주어로 간주됨. 이 의미의 단어는 예전에는 정중한 요청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may it please you, if it please you, 또는 생략적으로 please you와 같이 사용되었다: 이는 여전히 판사나 고위 직위의 인사에게 말할 때 흔히 사용되는 표현 방식이다: 예를 들어, please the court; please your honor; please your worship; 등. [Century Dictionary]
"please"에 대한 동사는 많은 언어에서 전형적인 정중한 표현을 제공함 ("Please come in," may it please you to ...의 단축형)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하지만 더 널리 퍼진 것은 'ask, request'에 대한 동사의 1인칭 단수 사용" [Buck, 독일어 bitte, 폴란드어 proszę 등을 인용]. 스페인어 favor는 hace el favor "do the favor"의 단축형. 덴마크어는 이 의미에서 vær saa god, 문자 그대로 "be so good"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