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중반, predestinacioun이라는 단어가 등장했어요. 이는 "하나님이 은혜를 통해 인류 중 일부를 구원이나 영원한 생명으로 미리 정하시는 행동"을 의미해요. 이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predestinacion에서 유래했으며, 교회 라틴어 praedestinationem (주격 praedestinatio)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된 것이죠. 라틴어에서 이 단어는 "미리 정하는 것"이라는 뜻의 명사로, praedestinare라는 동사의 과거 분사 어간에서 유래했어요. 이 동사는 "목표로 삼아 미리 정하다; 미리 정하거나 임명하다"라는 의미로, 라틴어 prae (미리, 보통 접두사 pre-로 쓰임)와 destinare (임명하다, 정하다; destine (v.) 참조)에서 유래했죠.
이 라틴어 단어는 처음에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신학적 의미로 사용되었고, 후에 칼빈에 의해 널리 알려졌어요. 관련된 단어로는 Predestinarian이 있는데, 이는 "예정론을 믿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1660년대에 사용되었어요.
Predestination to Life is the everlasting purpose of God, whereby (before the foundations of the world were laid) he hath constantly decreed by his counsel secret to us, to deliver from curse and damnation those whom he hath chosen in Christ out of mankind, and to bring them by Christ to everlasting salvation, as vessels made to honour. Wherefore, they which be endued with so excellent a benefit of God be called according to God's purpose by his Spirit working in due season: they through Grace obey the calling: they be justified freely: they be made sons of God by adoption: they be made like the image of his onlybegotten Son Jesus Christ: they walk religiously in good works, and at length, by God's mercy, they attain to everlasting felicity. [From article xvii of the Thirty-nine Articles of Religion of the Church of England]
생명에 대한 예정은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이에요. 이는 (세상이 창조되기 전) 하나님이 우리에게 비밀스럽게 그의 뜻을 통해 정하신 것으로, 인류 중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된 사람들을 저주와 멸망에서 구원하고, 그들을 그리스도를 통해 영원한 구원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죠. 마치 존귀한 그릇처럼. 그래서 이처럼 뛰어난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부름을 받게 돼요. 그들은 은혜로 그 부름에 순종하고, 무료로 의롭다 여겨지며, 입양을 통해 하나님의 아들이 되고, 그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되죠. 그들은 선한 일에 헌신하며, 결국 하나님의 자비로 영원한 행복에 이르게 돼요. [영국 성공회의 Thirty-nine Articles of Religion 제17조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