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0년, "인도에서 희생자를 목졸라 죽이고 강도짓을 하는 범죄 집단의 일원"이라는 의미로, 마라티어 thag, thak "사기꾼, 속이는 자," 힌디어 thag, 아마 산스크리트어 sthaga-s "교활한, 사기적인," sthagayati "(그가) 덮다, 숨기다"에서 유래, 인도유럽조어 *(s)teg- "덮다"에서 유래.
The thugs roamed about the country in bands of from 10 to 100, usually in the disguise of peddlers or pilgrims, gaining the confidence of other travelers, whom they strangled, when a favorable opportunity presented itself, with a handkerchief, an unwound turban, or a noosed cord. The shedding of blood was seldom resorted to. The motive of the thugs was not so much lust of plunder as a certain religious fanaticism. The bodies of their victims were hidden in graves dug with a consecrated pickax, and of their spoil one third was devoted to the goddess Kali, whom they worshiped. [Century Dictionary]
턱은 10명에서 100명까지의 무리를 지어 돌아다녔으며, 보통 행상이나 순례자의 변장을 하고 다른 여행자들의 신뢰를 얻어, 유리한 기회가 생기면 손수건, 풀어진 터번, 혹은 올가미진 밧줄로 희생자를 목졸라 죽였다. 피를 흘리는 것은 드물게 발생했다. 턱의 동기는 약탈의 욕망보다는 특정한 종교적 광신주의였다. 그들의 희생자들은 신성한 괭이로 파낸 무덤에 숨겨졌으며, 그들이 약탈한 것의 1/3은 그들이 숭배하는 칼리 여신에게 바쳐졌다. [Century Dictionary]
보다 정확한 인도 이름은 phanseegur (의미: phansi "올가미")이며, 이 활동은 1665년경부터 영어로 설명되었다. 1831년부터 영국에 의해 엄격히 단속되었으며, 세기말까지 사라졌다. "무뢰한, 도살자, 폭력적인 저급인간"이라는 연장된 의미는 1839년부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