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0년대 수사학에서 (아래 참조), 후기 라틴어 dilemma에서 유래, 그리스어 dilemma "이중 명제," 수사학의 기술적 용어로, di- "두 개" (참조 di- (1)) + lemma "전제, 받아들여지거나 취해진 것," lambanein "취하다"의 어근 (참조 lemma)에서 유래.
A form of argument in which it is shown that whoever maintains a certain proposition must accept one or other of two alternative conclusions, and that each of these involves the denial of the proposition in question. [Century Dictionary]
특정 명제를 유지하는 사람이 두 개의 대체 결론 중 하나를 받아들여야 하며, 이들 각각이 질문된 명제를 부인하는 것을 보여주는 논증의 형태.[Century Dictionary]
느슨하게는 "두 개의 바람직하지 않은 대안 사이의 선택," 1580년대부터. 누군가가 두 개의 모두 자신의 불리한 대안 사이에서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이 대안들은 horns of a dilemma라고 불린다). 그러나 심지어 논리학자들도 특정 상황이 딜레마인지 단순한 삼단논법인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관련: Dilemm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