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7년, "유대인, 아랍인, 아시리아인, 또는 아람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1797년의 고립된 사용은 셈족 언어군을 가리키며, Semitic에서 파생되었거나, 프랑스어 Sémite (1845)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현대 라틴어 Semita에서, 후기 라틴어 Sem에서, 그리고 그리스어 Sēm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경에 기반한 인류학에서 셈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노아의 세 아들 중 하나인 셈을 가리킵니다 (창세기 10장 21-30절). 히브리어 Shem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러한 현대적 의미는 독일의 역사학자 아우구스트 슐뢰저에 의해 1781년에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he credit, if such it be, of having originated the name "Semitic" (from Noah's son Sem or Shem) for the Hebrew group, is to be given either to Schlözer or to Eichhorn, — to which of the two is doubtful. The first known use of the term is in Schlözer's article on the Chaldæans, in Eichhorn's Repertorium, 8, 161 (1781), and he seems to claim the honor of its invention ; but a similar claim is made by Eichhorn himself, without mention of Schlözer, in his Allgemeine Bibliothek, 6, 772 (1794). [Philip Schaff, ed., "Religious Encyclopedia," 1889]
"셈족"이라는 이름을 최초로 만든 공은 (노아의 아들 Sem 또는 Shem에서 유래) 슐뢰저에게 있는지, 아니면 아이히혼에게 있는지는 불확실합니다. 이 용어의 최초 사용은 슐뢰저가 아이히혼의 Repertorium에 실린 칼데아인에 관한 글에서 발견되며, 1781년 8권 161페이지에 실려 있습니다. 그는 이 용어의 발명을 자신이 했다고 주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이히혼은 1794년 자신의 Allgemeine Bibliothek 6권 772페이지에서 슐뢰저를 언급하지 않고 비슷한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필립 샤프 편집, "종교 백과사전," 1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