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후반, "천체의 관찰을 바탕으로 한 계산과 예측"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astrologia "천문학, 천체에 관한 과학"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라틴어는 다시 그리스어 astrologia "천문학"에서 왔으며,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별들의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이는 astron "별" (인도유럽조어 뿌리 *ster- (2) "별"에서 유래)과 -logia "다루는 것" (참고: -logy)의 결합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원래는 astronomy와 동일한 의미를 가졌으며, 과학적 관찰과 설명을 포함했습니다. 그러나 "사건 예측에 적용된 천문학"이라는 특별한 의미가 생기면서, natural astrology "자연 현상(조수, 일식, 교회 축제 날짜 등)의 계산과 예측"과 judicial astrology "별과 행성이 인간사에 미치는 숨겨진 영향을 판단하는 기술"로 나뉘었습니다.
라틴어와 이후 그리스어에서는 astronomia가 astrologia보다 더 과학적인 경향이 있었습니다. 영어에서는 15세기 후반부터 astrology와 astronomy의 구분이 시작되었고, 17세기 후반까지 이 단어는 "별의 영향을 읽고 그것이 인간 운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제한되었습니다.
And consequently, an Astrology in the World before Astronomy, either in Name or Science. so that ( Non obstante whatever any Astronomer shall oppose to the contrary) Astrology hath the right of Primogeniture. And all the Sober and Judiciously Learned must needs acknowledge the Truth hereof.—Howbeit, it were to be wished that the Astrologer understood Astronomy, and that the Astronomer were acquainted with Astrology: Although I do in truth despair of ever finding many to be so happily Accomplished. [John Gadbury, introduction to "Ephemerides of the Celestial Motions," London, 1672]
따라서, 천문학이 등장하기 전, 이름이나 과학 모두에서 세상에 존재했던 것은 점성술이었습니다. 그러므로 (Non obstante 어떤 천문학자가 반대하더라도) 점성술은 선취권을 가집니다. 모든 신중하고 지혜로운 학자들은 이 진실을 인정해야 합니다.—그렇지만, 점성술사가 천문학을 이해하고, 천문학자가 점성술에 익숙해지기를 바라는 것이 좋습니다. 비록 제가 그런 완벽한 조화를 이룬 사람을 찾는 데 절망하고 있긴 하지만요. [존 가드버리, "Ephemerides of the Celestial Motions" 서문, 런던, 1672]
It is ... an extremely just observation of M. Comte, that [the study of astrology] marks the first systematic effort to frame a philosophy of history by reducing the apparently capricious phenomena of human actions within the domain of law. It may, however, I think, be no less justly regarded as one of the last struggles of human egotism against the depressing sense of insignificance which the immensity of the universe must produce. [W.E.H. Lecky, "History of the Rise and Influence of the Spirit of Rationalism in Europe," 1866]
이는 ... M. 콩트가 [점성술 연구]가 인간 행동의 변덕스러운 현상을 법의 영역으로 환원하여 역사 철학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려는 첫 번째 시도라는 매우 정확한 관찰을 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것이 또한 인간의 이기심이 우주의 광대함이 가져오는 무의미함에 맞서 싸우려는 마지막 발악 중 하나로 여겨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E.H. 레키, "History of the Rise and Influence of the Spirit of Rationalism in Europe," 1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