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7년, "주름진 직물," 특히 흰색 또는 색상이 있는 장례용 검은색이 아닌 것, 프랑스어 crêpe, 고대 프랑스어 crespe "주름, 주름장식, 프릴" (14세기)에서 유래, 라틴어 crispa, 여성형 crispus "곱슬, 주름이 있는, 곱슬머리의"에서 유래, 인도유럽어 공통조어 *sker- (2) "돌리다, 굽히다"에서 유래. Crepe paper는 1895년에 증명됨.
"작고 얇은 팬케이크"라는 의미는 1877년, 프랑스어 galette crêpe "주름진 팬케이크"에서 유래 (비교: crumpet). 비슷한 것으로 보이는 요리법은 14세기 후반 영어 요리책에 종종 crispes, cryspes로, 적어도 한 번은 cryppys로 기록되어 있음. 관련: Creperie. Crepe suzette "롤 또는 접어서 제공되며, 오렌지 리큐르 또는 브랜디를 뿌려 불을 붙인 가벼운 팬케이크"는 1910년 영어로 나타났고 (suzette pancake는 1907년부터) 1980년경까지 일반적인 형태였음.
Contemporary evidence suggests that its most likely creator was a head waiter at Restaurant Paillard in Paris in 1889, and that it was named in honour of an actress in the Comédie Française who played the part of a maid serving pancakes. ... [T]hey were for perhaps the first two third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epitome of the luxurious, expensive, and exclusive dessert. [Ayto, "Diner's Dictionary"]
현대의 증거는 그 가장 유력한 창시자가 1889년 파리의 Restaurant Paillard에서 수석 웨이터였으며, 팬케이크를 제공하는 하녀 역할을 한 프랑스 코미디 극단의 여배우를 기리기 위해 이름付け되었다는 것을 시사함. ... [그들은 아마도 20세기 초반 2/3 동안 화려하고 비싸며 독점적인 디저트의 전형이었음. [Ayto, "Diner's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