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후반, "폭"이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 latitude (13세기)와 라틴어 latitudo "폭, 너비, 범위, 크기"에서 유래되었으며, lātus (형용사) "넓은, 광범위한" 고대 라틴어 stlatus에서, 그리고 PIE *stleto-, 접미형 *stele- "퍼지다, 확장하다" (고대 Church Slavonic steljo "퍼지다," 아르메니아어 lain "넓은"의 출처)에서 직접적으로 유래됨.
지리적 및 천문학적 의미도 14세기 후반부터, 문자 그대로 알려진 세계의 지도의 "폭"으로 사용됨. "허용 가능한 변동의 정도, 기준에서의 일탈의 범위"라는 비유적 의미는 15세기 초. 관련: Latitudinal "지리적 위도에 관한" (1777); latitudinous "해석의 넓이를 가진" (1829, 미국 영어).
The ancients supposed the torrid and the frigid zones to be uninhabitable and even impenetrable by man, but while the earth, as known to them, was bounded westwardly by the Atlantic Ocean, it extended indefinitely towards the east. The dimensions of the habitable world then (and ancient geography embraced only the home of man ....,) were much greater, measured from west to east, than from south to north. Accordingly, early geographers called the greater dimension, or the east and west line, the length, longitudo, of the earth, the shorter dimension, or the north and south line, they denominated its breadth, latitudo. These Latin terms are retained in the modern geography of most European nations, but with a modified meaning. [George P. Marsh, "Lectures on the English Language," 1882]
고대인들은 열대와 한대 지역이 인간이 거주할 수 없고, 접근할 수조차 없다고 생각했지만, 그들이 아는 지구는 대서양에 의해 서쪽으로 한정되었으나, 동쪽으로는 무한히 확장되었다. 그 당시 거주 가능한 세계의 치수는 (고대 지리학은 인간의 집만을 포함했으나...) 동서로 측정했을 때, 남북으로 측정했을 때보다 훨씬 더 컸다. 따라서 초기 지리학자들은 더 큰 치수, 즉 동서선은 지구의 length, longitudo로, 더 짧은 치수, 즉 남북선은 그 breadth, latitudo로 명명했다. 이러한 라틴어 용어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의 현대 지리학에 남아 있지만, 수정된 의미로 사용된다. [George P. Marsh, "Lectures on the English Language," 1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