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6년, "제국 옹호, 제국 이익에 대한 헌신," 원래는 나폴레옹 맥락에서, 그러나 로마와 영국의 외교 정책에도 사용됨; imperial + -ism에서 유래.
영국에서는 (그리고 잠시 미국에서도) 국가 이익이나 서구 문명의 혜택 확산과 관련된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시작부터 대체로 비난의 용어로 여겨짐.
It is the old story of 1798, when French republicanism sick of its own folly and misdeeds, became metamorphosed into imperialism, and consoled itself for its incapacity to found domestic freedom by putting an iron yoke upon Europe, and covering it with blood and battle-fields. [Francis Lloyd, St. James's Magazine, January 1842]
1798년의 옛 이야기로, 프랑스 공화주의가 자신의 어리석음과 악행에 지쳐 제국주의로 변모하고, 국내 자유를 세울 수 없는 무능력을 유럽에 철의 멍에를 씌우고 피와 전쟁터로 덮음으로써 위로했던 이야기이다. [Francis Lloyd, St. James's Magazine, January 1842]
"한 나라가 다른 나라를 지배하는 것"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는 1878년에 기록됨. 이 단어의 경멸적인 성질은 1900년 이후 미국이 필리핀 봉기에 대한 반감을 느끼고 J.A. 홉슨의 제국주의에 관한 책이 출판되면서 더욱 뚜렷해졌으며, 이 책을 통해 1910년대에 공산주의 작가들에 의해 채택됨.
Imperialism is a depraved choice of national life, imposed by self-seeking interests which appeal to the lusts of quantitative acquisitiveness and of forceful domination surviving in a nation from early centuries of animal struggle for existence. Its adoption as a policy implies a deliberate renunciation of that cultivation of the higher inner qualities which for a nation as for an individual constitutes the ascendency of reason over brute impulse. It is the besetting sin of all successful States, and its penalty is unalterable in the order of nature. [J.A. Hobson, "Imperialism: A Study," London, 1902]
제국주의는 국가 생활의 타락한 선택으로,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세력이 수세기 동안 존재의 동물적 투쟁에서 살아남은 수량적 탐욕과 강압적 지배의 욕망에 호소하여 강요한 것이다. 이를 정책으로 채택하는 것은 개인과 마찬가지로 이성이 야만적 충동을 초월하는 고상한 내적 자질의 함양을 의도적으로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모든 성공적인 국가의 고질적인 죄악이며, 그 벌은 자연의 질서에서 불변이다. [J.A. Hobson, "Imperialism: A Study," London,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