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경, fairie, "초자연적이거나 전설적인 존재들의 나라 또는 집; 요정의 나라," 또한 "믿을 수 없거나 허구적인 것," 구프랑스어 faerie "요정의 땅, 요정들의 만남; 마법, 마술, 주술" (12세기)에서 유래, fae "fay"에서 유래, 라틴어 fata "운명들," 복수형 fatum "정해진 것; 운명, 숙명"에서 유래, PIE 어근 *bha- (2) "말하다, 이야기하다, 말하다"에서 유래. 또한 fate (명사) 및 fay와 비교.
In ordinary use an elf differs from a fairy only in generally seeming young, and being more often mischievous. [Century Dictionary]
일반적인 사용에서 elf는 fairy와 달리 일반적으로 젊어 보이며, 더 자주 장난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Century Dictionary]
그러나 그것은 톨킨 이전의 일이었다. 14세기 후반부터 초자연적 존재의 일종으로 [톨킨과 반대; 예: "Wife of Bath's Tale"에서 "This maketh that ther been no fairyes"와 같은], 아마도 fairie knight "초자연적이거나 전설적인 기사" (1300년경)와 같은 중간 형태를 통해, 스펜서에서 요정들이 영웅적이고 인간 크기로 묘사되었다. 17세기 초 어린이 이야기에서 작은 날개를 가진 존재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Yet I suspect that this flower-and-butterfly minuteness was also a product of "rationalization," which transformed the glamour of Elfland into mere finesse, and invisibility into a fragility that could hide in a cowslip or shrink behind a blade of grass. It seems to become fashionable soon after the great voyages had begun to make the world seem too narrow to hold both men and elves; when the magic land of Hy Breasail in the West had become the mere Brazils, the land of red-dye-wood. [J.R.R. Tolkien, "On Fairy-Stories," 1947]
그러나 나는 이 꽃과 나비의 미세함이 "합리화"의 결과였다고 의심한다. 이는 엘프랜드의 매력을 단순한 섬세함으로 바꾸고, 투명성을 풀밭꽃 속에 숨거나 풀잎 뒤에 줄어들 수 있는 연약함으로 바꾸었다. 이는 대항해 시대가 시작된 직후 유행이 된 것 같다. 세상이 인간과 엘프를 모두 수용하기에는 너무 좁아 보이게 되었을 때, 서쪽의 마법의 땅 하이 브레사일이 단순한 브라질, 붉은 염료 나무의 땅이 되었을 때. [J.R.R. Tolkien, "On Fairy-Stories," 1947]
따라서 경량성, 섬세함, 미세함을 나타내는 비유적 형용사 용법이 생겼다. 속어 "여성적인 남성 동성애자"의 의미는 1895년에 기록되었다. Fairy ring, 초원에서 특정 균류 (현재 우리가 설명하는 방식으로)는 1590년대부터 유래하였다. Fairy godmother는 1820년부터 증명되었다. 영국의 내륙에서 발견된 화석 크레타기 바다성과는 fairy loaves라고 불렸고, 1787년의 책에서는 영국의 "시골 사람들"이 고대 로마 도로의 돌들을 fairy pavements라고 불렀다고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