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saying

말; 발언; 속담

saying 어원

saying(n.)

“발음, 낭독, 동사 'say'의 행위,” 1300년경, say (v.)에서 유래된 동명사; “말해진 것” (보통 중요한 사람에 의해 말해진 것)은 1300년경부터; “속담적 표현, 격언”의 의미는 15세기 중반부터 입증됨.

구문 it goes without saying는 1862년 프랑스어 맥락에서 입증되었으며, 1868년경 영어 및 미국 신문에서 사용되었고 처음에는 명백한 의미가 없다고 많이 불평받음.

Ça va sans dire, a familiar French locution, whose English equivalent might be "that is a matter of course," or "that may be taken for granted." But recently it has become the tendency to translate it literally, "that goes without saying," and these words, though originally uncouth and almost unmeaning to the unpractised ear, are gradually acquiring the exact meaning of the French. [Walsh, 1892]
Ça va sans dire는 영어로 “그것은 당연한 일” 또는 “그것은 당연히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의미의 친숙한 프랑스어 표현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문자 그대로 “말할 필요가 없다”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들은 원래는 무례하고 거의 의미가 없었던 것이지만, 점차 프랑스어의 정확한 의미를 획득하고 있습니다. [Walsh, 1892]

연결된 항목:

중세 영어 seien은 고대 영어 secga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발언하다, 알리다, 말하다, 이야기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단어는 원시 게르만어 *sagjanan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말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어근은 고대 색슨어 seggian, 고대 노르드어 segja, 덴마크어 sige, 고대 프리슬란드어 sedsa, 중세 네덜란드어 segghen, 현대 네덜란드어 zeggen, 고대 고지 독일어 sagen, 현대 독일어 sagen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Watkins는 이 단어를 인도유럽어족의 공통 조어인 *sokwy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sekw- (3) "말하다, 발언하다"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어근은 히타이트어 shakiya- "선언하다", 리투아니아어 sakyti "말하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 sociti "변호하다, 보여주다", 고대 아일랜드어 insce "말, 언어", 고대 라틴어 inseque "말하다, 이야기하다"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어근이 인도유럽어족의 또 다른 어근인 *sekw- (1) "따르다"와 동일하다고 보았으며, 이는 "보다"를 거쳐 "말하다"로 의미가 발전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하며, Boutkan은 "확실한 인도유럽어족 어원은 없다"라고 주장합니다.

과거형 said는 고대 영어 segde에서 발전하였으며, 비인칭 용법 (it is said)은 고대 영어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shall we say와 같은 표현은 1580년대에 "가정하다, 당연히 여기다"라는 의미로 등장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비인칭 say는 1600년경부터 "가정하다, 추정하다"라는 의미로 문장 도입부나 삽입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일상적인 맥락에서 놀람 등을 표현하는 용법은 1830년경에 나타났습니다.

1930년 이전에는 무생물(시계, 표지판 등)을 주어로 사용하는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You said it! "맞아요"라는 표현은 1919년에 기록되었으며, you can say that again "다시 말해도 좋아요"는 1925년 미국 영어에서 동의 표현으로 사용된 예가 있습니다. You don't say (so) "정말 그렇군요" (종종 아이러니하게 사용됨)는 1779년에 나타났습니다. 미국 플로리스트 협회의 광고 슬로건 say it with flowers는 1918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이후 say it with 구조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1520년대, "원칙의 간결한 진술" (특히 "히포크라테스의 격언"에 관련하여) 프랑스어 aphorisme (고대 프랑스어 aufforisme, 14세기에서 수정됨)에서 유래, 후기 라틴어 aphorismus에서, 그리스어 aphorismos "정의; 짧고 간결한 문장"에서, aphorizein "구분하다, 나누다"에서, apo "부터" (참조 apo-) + horizein "경계를 짓다" (참조 horizon)에서.

"일반적인 중요성을 가진 진리를 포함하는 짧고 간결한 진술" (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의 일반적인 의미는 1580년대 영어에서 발생. 자명한 진리의 진술인 axiom과 구별되며, epigram은 격언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인 중요성이 부족함. Maximsayingaphorism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격언은 격언보다 더 실용적인 경향이 있으며, 속담은 더 일반적이고 저자의 이름이 붙어 있는 경향이 있음.

[F]or aphorisms, except they should be ridiculous, cannot be made but of the pith and heart of sciences ; for discourse of illustration is cut off ; recitals of examples are cut off ; discourse of connexion and order is cut off ; descriptions of practice are cut off. So there remaineth nothing to fill the aphorisms but some good quantity of observation : and therefore no man can suffice, nor in reason will attempt, to write aphorisms, but he that is sound and grounded. [Francis Bacon, "The Advancement of Learning," 1605] 
    광고

    saying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saying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saying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