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경, sclave, esclave, "다른 사람의 재산이나 소유인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고대 프랑스어 esclave (13세기)와 중세 라틴어 Sclavus "slave" (이탈리아어 schiavo, 프랑스어 esclave, 스페인어 esclavo의 출처)에서 유래되었다. 원래는 "슬라브인"을 의미했으며 (참조 Slav), 정복자들에 의해 노예로 팔린 많은 슬라브인들 때문에 이 이차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The oldest written history of the Slavs can be shortly summarised--myriads of slave hunts and the enthralment of entire peoples. The Slav was the most prized of human goods. With increased strength outside his marshy land of origin, hardened to the utmost against all privation, industrious, content with little, good-humoured, and cheerful, he filled the slave markets of Europe, Asia, and Africa. It must be remembered that for every Slavonic slave who reached his destination, at least ten succumbed to inhuman treatment during transport and to the heat of the climate. Indeed Ibrāhīm (tenth century), himself in all probability a slave dealer, says: "And the Slavs cannot travel to Lombardy on account of the heat which is fatal to them." Hence their high price.
The Arabian geographer of the ninth century tells us how the Magyars in the Pontus steppe dominated all the Slavs dwelling near them. The Magyars made raids upon the Slavs and took their prisoners along the coast to Kerkh where the Byzantines came to meet them and gave Greek brocades and such wares in exchange for the prisoners.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 II, 1913]
슬라브인의 가장 오래된 기록된 역사는 짧게 요약될 수 있다--수많은 노예 사냥과 전체 민족의 노예화. 슬라브인은 인간 상품 중 가장 귀중한 존재였다. 원래의 습기 많은 땅을 넘어 외부에서 강해지고, 모든 고난에 극도로 단련되며, 근면하고, 적은 것에 만족하며, 유머가 많고, 쾌활했던 그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노예 시장을 채웠다. 목적지에 도달한 슬라브인 노예 하나당 적어도 열 명은 운송 중 비인간적인 대우와 기후의 더위로 인해 succumb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실제로 10세기 이브라힘은 자신도 아마 노예 상인이었을 텐데, "슬라브인들은 그들에게 치명적인 더위 때문에 롬바르디로 여행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들의 높은 가격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9세기 아라비아 지리학자는 마자르인들이 폰투스 초원에서 그들과 가까이 살던 모든 슬라브인들을 지배했던 방법을 이야기한다. 마자르인들은 슬라브인들을 습격하고 그 포로들을 해안가로 데려가 커크에서 비잔틴인들이 그들을 만나고 그 포로들에 대한 대가로 그리스 양단과 그러한 물건들을 교환했다.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 II, 1913]
"어떤 습관이나 악습에 대한 저항력을 잃은 사람"이라는 의미는 1550년대부터 사용되었다. 1904년부터는 장치에 적용되었으며, 특히 다른 사람에 의해 제어되는 것들 (가령, 항해에서의 slave jib, 기관차, 플래시 벌브, 앰프의 유사한 경우)에게 적용되었다. 미국 역사에서, slave state, 즉 국내 노예제가 지배하는 주는 1812년부터 사용되었다.
It is absurd to bring back a runaway slave. If a slave can survive without a master, is it not awful to admit that the master cannot live without the slave? [Diogenes, fragment 6, transl. Guy Davenport]
도망친 노예를 되돌려 보내는 것은 어리석다. 노예가 주인 없이 생존할 수 있다면, 주인이 노예 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끔찍하지 않은가? [디오게네스, 단편 6, 번역가 가이 다벤포트]
고대 영어 Wealh "브리튼인"도 850년경 "농노, 노예"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산스크리트어 dasa-는 "노예"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다수" dasyu- "아리안 이전의 인도 거주자"와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Grose의 사전 (1785년)은 Negroe 아래에 "A black-a-moor; 속어로 노예를 의미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인종에 관계없이 사용되었다. 고대 영어에서 노예를 의미하는 더 일반적인 단어는 þeow (þeowian "섬기다"와 관련)와 þræl (thrall 참조)였다. 슬라브어로 "노예"를 의미하는 단어들 (러시아어 rab, 세르보-크로아티아어 rob, 고대 교회 슬라브어 rabu)는 고대 슬라브어 *orbu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뿌리 *orbh-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orphan (명사)의 출처). 이 단어의 기본 의미는 "충성을 변화시키는 것" (노예의 경우, 자신에서 주인으로)인 것으로 보인다. 슬라브어 단어는 robot의 출처이기도 하다.
scl-의 sl-로의 축소는 영어에서 일반적이며 (슬레이트와 비교, 또한 네덜란드어 slaaf, 덴마크어 slave와 비교, 하지만 독일어 Sklave와는 다름), 이는 언어적 변화의 일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