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Lupercalia

로마의 축제; 양치기 신 루페르쿠스 기념일; 고대의 의식

Lupercalia 어원

Lupercalia(n.)

로마에서 매년 2월 15일에 열리는 축제로, Lupercus라는 신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Lupercus는 리키아의 판과 동일시되며, 양치기들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는 팔라티노 언덕 기슭에 위치한 동굴에 살고 있었죠. 이 축제의 이름은 라틴어 Lupercali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복수형입니다. LupercalisLupercus와 관련된 것을 의미하고, 그의 이름은 lupus에서 비롯되었습니다. lupus는 '늑대'라는 뜻이죠 (자세한 내용은 wolf (n.)을 참조하세요). 이 의식은 매우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여겨집니다. 관련된 용어로는 Lupercalian이 있습니다.

연결된 항목:

구세계의 더 큰 육식성 개과 동물로, 무리 지어 사냥하며, 농장 동물들에게 파괴적이고, 가끔 인간을 공격하기도 한다; 중세 영어에서 고대 영어 wulf "늑대; 늑대 같은 사람, 악마"에서 유래, 원시 게르만어 *wulfaz, 인도유럽어족 뿌리 *wlkwo- "늑대"에서 유래.

이는 산스크리트어 vrkas, 아베스타어 vehrka-, 알바니아어 ul'k, 고대 슬라브어 vluku, 러시아어 volcica, 리투아니아어 vilkas "늑대"의 출처로 재구성되었다; 아마도 그리스어 lykos, 라틴어 lupus도 포함된다. 게르만어 동족어로는 고대 색슨어 wulf, 고대 노르드어 ulfr, 고대 프리지아어, 네덜란드어, 고대 고지 독일어, 독일어 wolf, 고딕어 wulfs가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 Varkana-는 "Hyrcania," 카스피해 동남쪽 지역, 문자 그대로 "늑대의 땅"이다;

포식자의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양과 대조되어 사용되었다; 중세 영어에서 사람을 지칭할 때는 탐욕, 잔인성, 무고하거나 힘없는 사람을 먹이로 삼는 자를 의미했다. 또한 게르만어 이름에서 전사에 대한 칭찬의 단어로 사용되었으며, Adolf, Rudolph와 같은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동물은 아마도 15세기 말까지 잉글랜드에서, 18세기 초까지 스코틀랜드에서 멸종되었을 것이다. 미국의 gray wolf는 다른 더 큰 종이다.

욕망의 상징으로서의 늑대는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로마 속어 lupa "창녀," 문자 그대로 "암늑대" (스페인어 loba, 이탈리아어 lupa, 프랑스어 louve에 보존됨)와 같은 예가 있다. "늑대"와 "매춘부, 성적으로 탐욕스러운 여성"의 동등성은 지속되었으며 (wolfesse가 라틴어 lupa를 14세기 후반에 주석함),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늑대가 주로 남성의 성욕을 상징하게 되었다.

"성적으로 공격적인 남성"을 의미하는 늑대의 특정 사용은 1847년에 입증되었다. 구어체 wolf-whistle은 1945년에 입증되었으며, 처음에는 육지에 있는 선원들과 관련이 있었다.

양의 가죽을 입은 늑대의 이미지는 1400년경부터 입증되었다. cry wolf "허위 경보를 울리다"는 1858년까지 알려졌으며, 잘 알려진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1690년대 영어로 입증됨). keep the wolf from the door "배고픔이나 궁핍함을 피하다"는 15세기 말까지 알려졌다.

This manne can litle skyl ... to saue himself harmlesse from the perilous accidentes of this world, keping ye wulf from the doore (as they cal it). ["The Institution of a Gentleman," 1555]
이 사람은 ... 이 세상의 위험한 사고로부터 자신을 무해하게 지키기 위해, 그들이 말하는 대로 문에서 늑대를 지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The Institution of a Gentleman," 1555]

wolf-spider (유럽 타란튤라)는 1600년경부터 그 이름이 붙여졌으며, 그물에서 기다리기보다는 먹이를 습격하고 뛰어오르는 방식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 비유적으로 throw (someone) to the wolves는 1927년에 알려졌다.

1600년경, 아일랜드어 lupracan에서 유래된 단어로, 고대 아일랜드어 luchorpan의 철자 변형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아주 작은 몸"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이는 lu "작은, 소형" (인도유럽어족 어근 *legwh- "가볍지 않은, 무게가 적은"에서 유래) + corpan, corp "몸"의 축소형, 라틴어 corpus "몸" (인도유럽어족 어근 *kwrep- "몸, 형태, 외형"에서 유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켈트어 언어학 연구에서는 이 단어가 라틴어 Lupercalia와 연결된다는 새로운 설명을 발견했습니다:

New research by Simon Rodway, Michael Clarke and Jacopo Bisagni, published in the journal Cambrian Medieval Celtic Studies, traces them back to the Roman Luperci. The Luperci were bands of aristocratic youths who ran naked through ancient Rome in the festival of Lupercalia on the 15 February. In the fifth century A.D. St Augustine of Hippo compared the Luperci with the Greek werewolves who were believed to change from men into wolves by swimming through a lake in Arcadia. Two centuries later Irish scholars misunderstood Augustine. They thought he meant that the Luperci were an ancient non-human race. Because they could swim they were supposed to have survived Noah's Flood and taken refuge in Ireland. So in medieval Irish legends the leprechauns or 'little Luperci' still lived under water. The wolf connection was soon forgotten and eventually the 'little Lupercus' became the familiar land-dwelling leprechaun of modern Irish folklore and tourism. [Patrick Sims-Williams, Professor of Celtic Studies in Aberystwyth University, Wales, cited at Languagelog]
사이먼 로드웨이, 마이클 클락, 자코포 비사그니가 Cambrian Medieval Celtic Studies 저널에 발표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이 단어는 로마의 루페르키(Luperci)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루페르키는 고대 로마에서 2월 15일 루페르칼리아 축제 동안 벌거벗고 달리던 귀족 청년들로 구성된 무리였습니다. 5세기경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루페르키를 아르카디아의 호수를 헤엄쳐 다니며 인간에서 늑대로 변하는 그리스의 늑대인간과 비교했습니다. 두 세기 후 아일랜드 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말을 잘못 이해했습니다. 그들은 루페르키가 고대의 비인간적 존재라는 의미로 해석했습니다. 그들은 수영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노아의 홍수를 피해 살아남아 아일랜드에 피신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중세 아일랜드 전설에서는 레프리콘, 즉 '작은 루페르키'가 여전히 물속에 살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늑대와의 연결고리는 곧 잊혀졌고, 결국 '작은 루페르쿠스'는 현대 아일랜드 민속과 관광에서 친숙한 육지 거주 레프리콘이 되었습니다. [패트릭 심스-윌리엄스, 웨일스 아베리스트위스 대학교 켈트학 교수, Languagelog에서 인용]

17세기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lubrican으로 철자되었으며, "Century Dictionary" (1902)에서는 leprechawn으로 수록되어 있습니다. 변형된 형태인 leithbragan은 아일랜드어 민속 어원으로, leith "반" + brog "브로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이 영혼이 "항상 한 짝의 신발을 만들거나 수선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15세기 중반 (13세기 중반 성씨로), "성 발렌타인 데이에 선택된 연인," 후기 라틴어 Valentinus에서 유래, 두 초기 이탈리아 성인의 이름 (라틴어 valentia "힘, 능력;" valence 참조). 이 날 연인을 선택하는 관습은 14세기 영어 및 프랑스 궁정에서 시작됨.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나 카드"라는 의미는 1824년에 기록됨. 이 날의 낭만적 연관성은 새들이 짝을 선택하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함.

For this was on seynt Volantynys day
Whan euery bryd cometh there to chese his make.
[Chaucer, "Parlement of Foules," c. 1381]

아마도 이 날짜는 이 관습을 발명한 프랑스 지역에서 비공식적인 봄의 첫날이었을 것이다 (많은 중세 달력은 2월 7일 또는 22일에 봄의 시작을 계산함). 로마의 Lupercalia (18세기 이론)나 두 성인의 어떤 낭만적이거나 조류적 특성과 연결된 증거는 없음. 이 날짜에 특별한 카드나 편지를 보내는 관습은 1840-1870년경 영국에서 번창했으나 20세기 초반에 감소하고 1920년대에 부활함.

To speak of the particular Customs of the English Britons, I shall begin with Valentine's Day, Feb. 14. when young Men and Maidens get their several Names writ down upon Scrolls of Paper rolled up, and lay 'em asunder, the Men drawing the Maidens Names, and these the Mens; upon which, the Men salute their chosen Valentines and present them with Gloves, &c. This Custom (which sometimes introduces a Match) is grounded upon the Instinct of Animals, which about this Time of the Year, feeling a new Heat by the approach of the Sun, begin to couple. ["The Present Sta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London, 1723]
    광고

    Lupercalia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Lupercalia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Lupercalia

    광고
    인기 검색어
    Lupercalia 근처의 사전 항목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