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amerce

벌금을 부과하다; 처벌하다

amerce 어원

amerce(v.)

“임의적이거나 재량에 따른 벌금형,” 1215년, 이전에는 amercy라는 표현이 사용되었고, 앵글로프랑스어 amercier는 “벌금을 부과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merci “자비, 은혜”에서 유래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mercy를 참조하세요). 법률 용어 estre a merci “법원 등의 자비에 맡겨지다”는 estre amercié로 변형되었는데, 이는 법률 전문 용어에서 부사구가 동사로 변하는 전형적인 예시입니다 (예를 들어 abandon을 비교해 보세요).

Frans hom ne seit amerciez pour petit forfet. [Magna Charta]
Frans hom ne seit amerciez pour petit forfet. [마그나 카르타]

관련 용어로는 Amercement (벌금 부과), amerciable/amerceable (벌금 부과가 가능한)가 있습니다.

연결된 항목:

14세기 후반, "절대적으로 (무언가를) 포기하다, 통제를 포기하다, 완전히 넘겨주다;" 또한 재귀적으로, "자신을 항복하다, (종교, 간통 등에게) 완전히 복종하다"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 abandonner "항복하다, 풀어주다; 자유롭게 주다, 허락하다," 또한 재귀적으로, "헌신하다" (12세기)에서 유래.

고대 프랑스어 단어는 부사구 à bandon "의지대로, 재량에 따라,"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는 à "에서, ~에게" (라틴어 ad에서; ad- 참조) + bandon "권력, 관할권," (라틴어 bannum, "선포"에서, 이는 프랑크어 또는 기타 게르만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원시 게르만어 *bannan- "선포하다, 소환하다, 금지하다"에서 유래; 모든 것이 선포에 의해 이루어짐)에서 유래; ban (v.) 참조.

Mettre sa forest à bandon was a feudal law phrase in the 13th cent. = mettre sa forêt à permission, i.e. to open it freely to any one for pasture or to cut wood in; hence the later sense of giving up one's rights for a time, letting go, leaving, abandoning. [Auguste Brachet,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French Language," transl. G.W. Kitchin, Oxford, 1878]
Mettre sa forest à bandon는 13세기 봉건 법률 구문 = mettre sa forêt à permission, 즉 목초지로 자유롭게 열거나 나무를 자를 수 있도록 허락하는 것을 의미; 따라서 나중에 일정 기간 동안 권리를 포기하고, 놓아주고, 떠나고, 버리는 의미가 생겼다. [Auguste Brachet,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French Language," transl. G.W. Kitchin, Oxford, 1878]

"필요한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떠나다, 버리다, 저버리다"라는 의미는 15세기 후반부터 나타남. 관련: Abandoned; abandoning.

어원적으로, 이 단어는 "무언가를 다른 사람의 통제하에 두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영어에서 이 단어의 가장 초기의 나타남은 부사로 (13세기 중반) "그의 통제하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따라서 또한 "제한 없는"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Again, as that which is placed at the absolute command of one party must by the same act be entirely given up by the original possessor, it was an easy step from the sense of conferring the command of a thing upon some particular person to that of renouncing all claim to authority over the subject matter, without particular reference to the party into whose hands it might come ; and thus in modern times the word has come to be used almost exclusively in the sense renunciation or desertion. [Hensleigh Wedgwood, "A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1859]
다시 말해, 한 당사자의 절대적인 명령에 놓인 것은 원래 소유자가 완전히 포기해야 하는 것이므로, 어떤 특정 인물에게 사물의 명령을 부여하는 의미에서 해당 주제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는 의미로의 전환은 쉬운 단계였으며, 이는 현대에 이르러 거의 독점적으로 포기나 저버림의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Hensleigh Wedgwood, "A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1859]

12세기 후반, "하나님이 그의 피조물의 죄를 용서하시는 것"이라는 뜻으로, 고대 프랑스어 mercit, merci (9세기) "보상, 선물; 친절, 은혜, 연민"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 mercedem (주격 merces) "보상, 임금, 급여, 고용" (속어 라틴어에서는 "호의, 연민"; 중세 라틴어에서는 "감사; 은혜")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는 merx (소유격 mercis) "상품, merchandise" (참조: market (n.))에서 파생되었습니다. 교회 라틴어 (6세기)에서는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이들이 얻는 천상의 보상에 대한 특정한 의미가 부여되었습니다.

"용서하거나 연민을 보이는 성향"이라는 의미는 13세기 초반부터 입증되었습니다. "인내나 선의를 베푸는 행위"라는 의미는 1300년경부터 나타났습니다. 감탄사로서, 13세기 중반부터 입증되었습니다 (short for may God have mercy, have mercy on me 등). 많은 영어의 의미가 프랑스어에서 더 일찍 발견되었지만, 프랑스어에서는 감사의 말로만 남아 miséricorde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습니다. "재량적인 행동" (예: at (one's) mercy)이라는 의미는 14세기 중반부터 나타났습니다. Seat of mercy "언약궤의 금으로 된 덮개" (1530년), 따라서 "하나님의 왕좌"는 루터의 gnadenstuhl의 틴데일의 대출 번역으로, 라틴어 propitiatorium의 부정확한 번역으로, 궁극적으로 히브리어 kapporeth의 문자적 번역인 "화해물"의 번역입니다.

    광고

    amerce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amerce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amerce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