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경, devis, "의도, 소망; 표현된 의도나 소망; 계획이나 디자인; 문학 작품"이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 devis "분할, 분리; 배치, 소망, 욕망; 문장, 상징; 유언장에 대한 유증, 유증 행위"에서 유래하였으며, deviser "정리하다, 계획하다, 고안하다"에서 유래하였고, 문자 그대로 "부분으로 배치하다"라는 의미로, 속어 라틴어 *divisare, 라틴어 dividere "나누다"의 빈번형에서 유래하였다 (참조 divide (v.)).
기본적인 의미는 "무언가가 나누어지는 방법"으로, 고대 프랑스어에서 발생하였으며, "특정 용도나 목적에 맞게 발명되거나 적합하게 만들어진 것"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적인 의미의 범위로 이어졌고, 따라서 "발명; 구성된 도구; 창의성; 계획이나 기획"이라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1400년경 영어에서 "예술적 디자인, 예술 작품; 장식"이라는 의미로, 특히 "어떤 물체나 장면의 표현으로, 모토나 전설과 함께 사용되어 지닌 이의 열망이나 원칙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1400년경부터 "기계적 장치"로 사용되었으며, 크랭크가 장착된 대형 석궁과 같은 장치였다. 15세기 중반부터는 "유언장에 대한 유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1996년경부터는 특히 "휴대용 또는 이동식 컴퓨팅 또는 전자 기기"를 의미하게 되었다.
We live in a kind of world and in an age of the world where devices of all sorts are growing in complexity, wher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alertness and self-mastery in the control of device is ever more urgent. If we are democrats we know that especial perils beset us, both because of the confusion of our aims and because it is easier for the mob than for the individual to mistake appetite for reason, and advantage for right. [Hartley Burr Alexander, "'Liberty and Democracy,' and Other Essays in War-Time," 1918]
우리는 모든 종류의 장치가 복잡해지는 세상과 시대에 살고 있으며, 따라서 장치를 제어하는 데 있어 경계와 자기 절제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우리가 민주주의자라면, 우리의 목표의 혼란과 군중이 개인보다 욕망을 이성을, 이익을 정의로 착각하기 쉬운 때문이라는 특별한 위험이 우리를 괴롭힌다는 것을 안다. [Hartley Burr Alexander, "'Liberty and Democracy,' and Other Essays in War-Time,"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