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embezzle

횡령하다; 착복하다; 도둑질하다

embezzle 어원

embezzle(v.)

15세기 초, "다른 사람의 돈이나 재산을 빼앗다, 훔치다"라는 의미로, 앵글로프랑스어 enbesiler "훔치다, 사라지게 하다" (약 1300년경)에서 유래, 고대 프랑스어 em- (참조 en- (1)) + besillier "괴롭히다, 파괴하다, 도려내다"에서 유래, 출처 불명. "사기적으로 자신의 용도로 처분하다"라는 의미는 1580년대에 처음 기록됨. 관련어: Embezzled; embezzling.

연결된 항목:

변형된 형태의 embezzle (참조).

"신뢰를 바탕으로 맡겨진 자금의 절도 또는 유용," 1540년대에 embezzle + -men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초기 명사는 embezzling (15세기 초)였습니다.

[I]n English law, a peculiar form of thef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ordinary crime in two points:— (1) It is committed by a person who is in the position of clerk or servant to the owner of the property stolen; and (2) the property when stolen is in the possession of such clerk or servant. The definition of embezzlement as a special form of theft arose out of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legal doctrine that to constitute larceny the property must be taken out of the possession of the owner. Servants and others were thus able to steal with impunity goods entrusted to them by their masters. A statute of Henry VIII. (1529) was passed to meet this case; and it enacted that it should be felony in servants to convert to their own use caskets, jewels, money, goods or chattels delivered to them by their masters. [ Encyclopaedia Britannica, 1910]
[영국 법에서] 특정한 형태의 절도로, 일반적인 범죄와 두 가지 점에서 구별됩니다: (1) 절도된 재산의 소유자의 하인이나 직원인 사람이 저지르며, (2) 절도된 재산이 그 하인이나 직원의 소유에 있을 때입니다. 절도가 성립하려면 재산이 소유자의 소유에서 빼앗겨야 한다는 법적 원칙 때문에, 하인들은 주인에게 맡겨진 물건을 마음대로 훔칠 수 있었습니다. 헨리 8세의 법령(1529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하인들이 주인에게 받은 상자, 보석, 돈, 물건 등을 자신의 것으로 변환하는 것을 중범죄로 규정했습니다. [ Encyclopaedia Britannica, 1910]
광고

embezzle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embezzle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embezzle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