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독일어 Einfühlung (여기서 ein "안으로" + Fühlung "느낌")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독일 철학자 루돌프 로체 (1817-1881)에 의해 1858년 그리스어 empatheia "열정, 감정의 상태"의 번역어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동화된 형태의 en "안으로" (참조 en- (2)) + pathos "느낌" (PIE 어근 *kwent(h)- "고통받다"에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예술 감상 이론에서 출발한 용어로, 감상이 감상자의 성격을 감상 대상에 투사하는 능력에 의존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Not only do I see gravity and modesty and pride and courtesy and stateliness, but I feel or act them in the mind's muscles. This is, I suppose, a simple case of empathy, if we may coin that term as a rendering of Einfühlung; there is nothing curious or idiosyncratic about it; but it is a fact that must be mentioned. [Edward Bradford Titchener, "Lectures on the Experimental Psychology of the Thought Processes," 1909]
나는 중력과 겸손, 자존심과 예의, 위엄을 볼 뿐만 아니라, 마음의 근육에서도 그것들을 느끼거나 행동한다. 이것은 내가 그 용어를 Einfühlung의 번역으로 만들 수 있다면, 단순한 공감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그것에 대해 신기하거나 특이한 것은 없지만, 언급해야 할 사실이다. [에드워드 브래드포드 티치너, "Lectures on the Experimental Psychology of the Thought Processes," 1909]
... there is no doubt that the facts are new and that they justify their name: the art work is a thing of "empathy" (Titchener, Ward), of "fellow feeling" (Mitchell), of "inner sympathy" (Groos), of "sympathetic projection" (Urban), of "semblance of personality" (Baldwin), all terms suggested by different writers as renderings of the German Einfühlung. ["The American Yearbook," 1911]
... 그 사실들이 새롭고 그 이름을 정당화한다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예술 작품은 "공감" (티치너, 워드), "동정심" (미첼), "내적 공감" (그로스), "연민의 투사" (어반), "개성의 유사성" (볼드윈)이라는 것들로, 독일어 Einfühlung의 번역어로 다양한 작가들이 제안한 용어들이다. ["The American Yearbook,"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