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후반, 고대 영어 (앙글로색슨) hlæhhan, 초기 hliehhan, hlihhan "웃다, 웃음을 짓다; 기뻐하다; 조롱하다"에서 유래, 프리젝 투르 고대 노르드어 hlæja, 덴마크어 le, 고대 프리슬란드어 hlakkia, 고대 색슨어 hlahhian, 중세 네덜란드어 및 네덜란드어 lachen, 고대 고지 독일어 hlahhan, 독일어 lachen, 고딕어 hlahjan의 원천인 프리프로 고대문자로부터 *klakhjan)에서 유래, 인도유럽어족 *kleg-, 모방적 기원 (라틴어 cachinnare "소리 내어 웃다," 산스크리트어 kakhati "웃다," 고대 슬라브어 chochotati "웃다," 리투아니아어 klagėti "깔깔거리다," 그리스어 kakhazein과 비교).
원래는 스코틀랜드어 loch와 같이 "강한" -gh- 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발음이 "-f"로 바뀐 후에도 철자는 남아있었다.
If laugh were written as it is pronounced, laaff, there would be nothing in the word itself to put us in mind of the thing signified. The imitation begins to be felt in the guttural ach of G. lachen, and is clearly indicated in the reduplicate form of the Du. lachachen, to hawhaw or laugh loud, preserved by Kilian. [Hensleigh Wedgwood, introduction to "A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1878]
만약 웃음이 발음대로 쓰였다면, laaff, 그 단어 자체에 우리가 의미하는 것을 생각나게 할 것이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G. lachen의 목구멍 ach에서 모방이 느껴지기 시작하고, Du. lachachen의 반복 형식에서 명확하게 나타나며, 이는 Kilian에 의해 보존되었다. [Hensleigh Wedgwood, "A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1878년 서문]
우스갯소리를 laugh in one's sleeve는 관찰되지 않도록 내적으로 웃는 것을 의미한다:
If I coveted nowe to avenge the injuries that you have done me, I myght laughe in my slyve. [John Daus, "Sleidanes Commentaries," 1560]
만약 내가 당신이 나에게 입힌 상처를 복수하고 싶다면, 나는 내 소매에서 웃을 수 있을 것이다. [John Daus, "Sleidanes Commentaries," 1560년]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경멸을 내포하며, 실제 웃음보다는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Century Dictionary]. 관련: Laughed; laugher; laug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