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스펀지 같은 반죽으로 만든 케이크를 라드에 튀긴 것," 1809년, 미국 영어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dough와 nut (명사)의 결합으로 보이며, 아마도 작은 둥근 덩어리라는 개념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 (구멍은 나중에 생겼고, 최초 언급은 약 1861년경). 이 표현은 워싱턴 어빙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으며, 그는 이를 "돼지 기름에 튀긴 단맛의 반죽 덩어리, 즉 도넛 또는 올리코크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전에는 dough-boy (1680년대)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바틀렛은 1848년, 도넛과 크룰러를 올리코크스의 일종으로 나열했으며, 이 단어는 네덜란드어 olikoek에서 유래된 것으로, 문자 그대로 "기름 케이크"를 의미하며, 라드에 튀긴 케이크를 나타냅니다.
The ladies of Augusta, Maine, set in operation and carried out a novel idea, namely, the distribution of over fifty bushels of doughnuts to the Third volunteer regiment of that State. A procession of ladies, headed by music, passed between double lines of troops, who presented arms, and were afterwards drawn up in hollow square to receive from tender and gracious hands the welcome doughnation. [Frazar Kirkland, "Anecdotes of the Rebellion," 1866]
메인주 오거스타의 여성들이 독특한 아이디어를 실현하여, 그 주의 제3자원연대에 50부셸이 넘는 도넛을 배급하는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음악을 앞세운 여성들의 행렬이 군인들의 두 줄 사이를 지나갔고, 군인들은 경례를 했으며, 이후 그들은 부드럽고 친절한 손길로 환영받는 doughnation을 받기 위해 원형으로 모였습니다. [프레이저 커클랜드, "반란의 일화," 1866년]
"타이트한 원을 그리며 돌다"라는 의미는 미국 속어로 1981년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donut와도 비교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