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중반, "신의 형상을 (이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 idole "우상, 새겨진 이미지, 이교의 신" (11세기)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 idolum "이미지 (정신적 또는 물리적), 형태," 특히 "환영, 유령,"이지만 교회 라틴어에서는 "거짓 신, 이교 신의 숭배 대상으로서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그리스어 eidōlon "정신적 이미지, 환영, 유령,"또한 "물질적 이미지, 조각상,"에서 유래하였으며, 교회 그리스어에서 "이교의 우상"을 의미했습니다. 이는 eidos "형태, 모양; 유사성, 비슷함" (참조 -oid)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거짓 신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로,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 저자들은 "거짓 신의 이미지"를 위해 사용하였고, 따라서 "거짓 신"이라는 의미도 발생하였습니다. 게르만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신"이라는 단어에 접두사를 붙여 "거짓 신" (문자 그대로 "신에서 멀리한 신")을 의미하였고, 따라서 "거짓 신의 이미지" (고대 영어 afgod, 덴마크어 afgud, 스웨덴어 avgud, 고대 고지 독일어 abgot, af-/ab- "멀리, 떨어져" (소스 off) + god와 결합된 것)로 나타났습니다. 고대 노르드어 skurgoð "우상"은 문자 그대로 "조각된 신"입니다.
영어에서 때때로 이전 그리스어 의미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우상화된 것"이라는 비유적 의미는 1560년대에 나타났으며 (중세 영어에서는 비유적 의미가 "거짓이거나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신에게 합당한 존경을 받는 사람, 경배의 대상을 인간으로 삼는 것"은 1590년대부터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