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초, trophe, "압도적인 승리;" 1510년대, "전쟁의 전리품이나 상, 승리를 기념하여 보존된 모든 것," 고대 프랑스어 trophée (15세기)에서 유래, 라틴어 trophaeum "승리의 상징, 승리를 기념하는 기념물"에서 유래, 원래 tropaeum, 그리스어 tropaion "적의 패배를 기념하는 기념물"에서 유래, 형용사 tropaios "패배의, 대패를 초래하는"의 중성 명사형, tropē "패배," 원래 "적의 회전"에서 유래; trope와 비교.
고대 그리스에서는 전투에서 취한 전리품이나 무기를 전장에서 세우고 신에게 바치는 것이었다. 승리의 어떤 기호나 기념물로의 비유적 확장은 1560년대에 처음 기록되었다. 1630년대부터 "고전적인 트로피의 상징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Trophy wife "성공적인 남성이 지위 상징으로 매입한 두 번째, 매력적이고 일반적으로 젊은 아내"는 1988년부터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표현이 되었지만, 고립된 사례에서는 더 오래되었다.
Variations on this theme ['convenience-wife'] include the HOSTESS-WIFE of a businessman who entertains extensively and seeks a higher-level, home-branch version of his secretary; the TROPHY-WIFE — the woman who was hard to get because of birth or wealth or beauty — to be kept on exhibition like a mammoth tusk or prime Picasso ... [Phyllis I. Rosenteur, excerpt from "The Single Women," published in Philadelphia Daily News, Dec. 12, 1961]
['convenience-wife']라는 주제의 변형들 중에는 광범위하게 접대하고 자신의 비서의 더 높은 수준의 가정 지점 버전을 찾는 사업가의 HOSTESS-WIFE; 출생이나 재산이나 미 beauty 때문에 얻기 힘든 여성인 TROPHY-WIFE — 매머드 상아나 최고의 피카소처럼 전시용으로 유지될 여성 ... [Phyllis I. Rosenteur, "The Single Women," Philadelphia Daily News, 1961년 12월 12일 발행에서 발췌]
발췌문은 트로피 아내를 "전시 아내," "미모를 위해 선택되고 공공 장소에서 항상 전시되는, 밍크와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아내와 구별하는데, 이는 trophy wife의 후기 사용에 더 적합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