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0년대에 소환에 사용되는 마법 공식, 이전에는 Hocas Pocas, 마법사나 저글러의 일반적인 이름 (1620년대); 저글러들이 사용하는 가짜 라틴어 호출문으로, 아마도 미사에서 성체성사의 축복 Hoc est corpus meum "이것은 나의 몸입니다"의 왜곡에 기반했을 가능성이 있음. 그 기원에 대한 이러한 추측을 처음 한 것은 영국의 성직자 존 틸로트슨 (1630-1694)으로 보임.
I will speak of one man ... that went about in King James his time ... who called himself, the Kings Majesties most excellent Hocus Pocus, and so was called, because that at the playing of every Trick, he used to say, Hocus pocus, tontus tabantus, vade celeriter jubeo, a dark composure of words, to blinde the eyes of the beholders, to make his Trick pass the more currantly without discovery. [Thomas Ady, "A Candle in the Dark," 1655]
나는 한 남자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 제임스 왕 시대에 ... 자신을 왕의 가장 훌륭한 Hocus Pocus라고 부른 남자에 대해, 그리고 그는 매트릭을 수행할 때마다 Hocus pocus, tontus tabantus, vade celeriter jubeo,라는 어두운 단어 조합을 말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 이는 관객의 눈을 속이고 그의 묘기가 더 쉽게 발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토마스 아디, "A Candle in the Dark," 1655]
hiccus doccius 또는 hiccus doctius (1670년대, "저글러가 묘기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공식"), 또한 저글러의 일반적인 이름과 비교할 수 있으며, OED는 이것이 라틴어 hicce es doctus "여기 학식 있는 사람입니다," "단순히 라틴어를 모방한 의미 없는 공식이 아닐 수도 있다"는 왜곡으로 추측된다고 말함. 또한 holus-bolus (부사) "한 번에 모두, 모두 한꺼번에"와 비교할 수 있으며, Century Dictionary는 이것을 "가짜 라틴어 형태의 whole의 다양한 중복"이라고 부름. 명사로서 "저글러의 묘기"를 의미하는 hocus-pocus는 1640년대부터 기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