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 뜻
port 어원
port(n.1)
"배들이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며 폭풍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대수역의 만, 만, 수로 또는 움푹 들어간 곳;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항구," 고대 영어 port "항구, 항만, 배들이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기 위해 항상 모이는 곳;" 또한 "마을, 시장 마을, 도시"로, 고대 프랑스어 port "항구, 항만; 산악 통로"에 의해 강화되었다. 고대 영어와 고대 프랑스어 단어는 모두 라틴어 portus "항구, 항만," 비유적으로 "피난처, 보호 장소, 망명처" (고대 라틴어에서는 "집"으로, 후기 라틴어에서는 "창고"로도 사용됨)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입구, 통로"를 의미하며 porta "도시의 성문, 문, 출입구" (약간의 PIE *prtu- "가다, 통과하다," 접미형 *per- (2) "이끌다, 통과하다"의 형태)와 유사하다.
[I]in law, a place where persons and merchandise are allowed to pass into and out of the realm and at which customs officers are stationed for the purpose of inspecting or appraising imported goods. In this sense a port may exist on the frontier, where the foreign communication is by land. [Century Dictionary]
[I]in law, 사람들이나 상품이 왕국에 들어오고 나갈 수 있도록 허용되는 장소이며, 세관원이 수입품을 검사하거나 평가하기 위해 배치되는 곳. 이 의미에서 항구는 외국과의 소통이 육상인 국경에 존재할 수 있다. [Century Dictionary]
"피난처의 장소, 위치, 조건"이라는 비유적 의미는 15세기 초반 영어에서 입증되었으며; any port in a storm라는 구문은 "어떠한 피난처도 역경에서 환영받는다"는 의미로 1749년에 등장했다. port of call (1810)은 항해 중 배가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항구를 의미한다. "항구로 가져가다"라는 동사는 1610년대에 등장했다.
port(n.2)
1300년경 (성씨에서는 13세기 중반), porte, "장소로의 입구, 관문; 도시나 요새의 출입구," 특정한 문들의 이름에서도 발견됨, 고대 프랑스어 porte "문, 입구"에서 유래, 라틴어 porta "도시의 문, 출입구; 문, 입구"에서 유래, portus "항구"와 관련, 인도유럽어 공통 조어 *per- (2) "이끌다, 넘어가다"에서 유래. 고대 영어에서도 이 의미로 가끔 port가 사용되었으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고, 중세 영어 단어는 프랑스를 통해 새롭게 차용된 것으로 보임.
"포트홀, 배의 측면에 있는 개구부"라는 의미는 14세기 중반부터 증명됨; 고대 전투선에서는 대포가 겨눌 수 있도록 배의 측면에 있는 포옹부. "신체에 무언가가 들어가는 장소"라는 의학적 의미는 1908년경에 portal의 약어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컴퓨터에서는 "신호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들어가거나 떠나는 장소"라는 의미로 1979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는 전자공학에서 "신호가 네트워크나 장비에 들어가거나 떠나는 터미널 쌍"을 의미하는 1953년의 초기 사용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이것도 아마 portal의 약어일 가능성이 있음.
port(n.3)
"지지, 태도, 몸가짐, 행동," 1300년경, 고대 프랑스어 port "몸가짐 태도"에서 유래, porter "들다"에서 유래, 라틴어 portare "들다"에서 유래 (단어 port (v.2)의 출처), PIE 어근 *per- (2) "이끌다, 넘어가다"에서 유래. 1400년경부터 "외적 모습"으로, 1520년대에는 이제는 고어가 된 "상태, 스타일, 설립"의 의미로 사용됨.
port(n.4)
"배의 왼쪽 측면" (선미에서 앞쪽을 바라볼 때), 1540년대, 아마도 "항구를 향하는 측면" (배가 정박할 때)이라는 개념에서 유래; 그래서 port (n.1)에서 유래. 구식 선박에서는 조타 막대가 오른쪽에 있었으므로, 반대쪽에서 부두에 묶었기 때문에. starboard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반 사용에서 larboard를 대체; 1844년 해양 사령부의 명령과 1846년 미국 해군부의 공고로 공식화. 형용사로는 1857년부터.
U. S. Navy Department, Washington, Feb. 18, 1846.
It having been repeatedly represented to the Department that confusion arises from the use of the words "larboard" and "starboard"' in consequence of their similarity of sound, the word "port" is hereafter to be substituted for "larboard." George Bancroft, Sec. of the Navy.
미국 해군부, 워싱턴, 1846년 2월 18일.
"larboard"와 "starboard"라는 단어 사용으로 인해 혼동이 발생한다는 제보가 반복적으로 들어옴에 따라, "larboard" 대신 "port"라는 단어로 대체하기로 한다. 조지 뱅크로프트, 해군 장관.
The whalemen are the only class of seamen who have not adopted the term port instead of larboard, except in working ship. The larboard boat was this boat to their great-grandfathers, and it is so with the present generation. More especially is this the case in the Atlantic and South Pacific fleets; but recently the term port-boat has come into use in the Arctic fleet. [Fisheries of U.S., V. ii. 243, 1887]
고래잡이들은 작업 선박을 제외하고는 larboard 대신 port라는 용어를 채택하지 않은 유일한 선원 계층이다. larboard 보트는 그들의 증조부에게는 이 보트였으며, 현재 세대에서도 그렇다. 특히 대서양과 남태평양 함대에서 그렇지만, 최근에는 북극 함대에서도 port-boat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Fisheries of U.S., V. ii. 243, 1887]
port(n.5)
1690년대, 달콤하고 어두운 빨간색 포도주 종류로, 원래 이 포도주가 영국으로 수출되었던 포르투갈 북서부의 도시 Oporto에서 짧게 줄여서 이름 지어짐; 이름은 원래 O Porto "항구, 항구 도시" (참조 port (n.1))이다.
French wines were the favourite drink, but the War of the Revolution for a time almost excluded them, and the Methuen Treaty of 1703, which admitted the wines of Portugal at a duty of one-third less than those of France, gradually produced a complete change in the national taste. [W.E.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1878]
프랑스 와인은 가장 좋아하는 음료였으나, 혁명 전쟁으로 인해 한동안 거의 제외되었고, 1703년 메투엔 조약은 포르투갈 와인을 프랑스 와인보다 3분의 1 적은 세금으로 인정하며, 점차적인 국가적 취향의 완전한 변화를 초래했다. [W.E.H. Lecky,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1878]
port(v.)
"운반하다, 견디다, 전달하다," 1560년대, 프랑스어 porter에서, 라틴어 portare "운반하다, 견디다, 가져가다, 전달하다"에서 유래, 비유적으로는 "징조가 되다"라는 의미도 있음 (스페인어 portar의 원천), porta "문," portus "항구"와 유사 (PIE *prto-, 뿌리 *per- (2) "이끌다, 넘어가다"의 접미형). "군사적으로 소총 등을 운반하다"는 의미는 1620년대부터. 관련 용어: Ported; porting. 라틴어 동사는 deport, export, import, report, support, important, 그리고 궁극적으로 sports를 포함한 많은 현대 영어 단어의 원천.
연결된 항목:
port 의 추세
port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