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strike

치다; 때리다; 공격하다

strike 어원

strike(v.)

중세 영어 striken은 고대 영어 strican에서 유래했으며, 과거형은 strac, 과거분사는 stricen입니다. 이 단어는 '가볍게 지나가다', '쓰다듬다', '매끄럽게 하다', '문지르다' 등의 의미를 가졌지만, 현재는 사라진 의미들입니다. 또 다른 의미로는 '가다', '움직이다', '진행하다', '어딘가로 나아가다'가 있습니다. 이는 원시 게르만어 *strikanan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대 노르웨이어 strykva ('쓰다듬다'), 고대 프리지아어 strika, 중세 네덜란드어 streken, 현대 네덜란드어 strijken ('매끄럽게 하다, 쓰다듬다, 문지르다'), 고대 고지 독일어 strihhan, 현대 독일어 streichen와 같은 단어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가볍게 지나가다' 또는 '문지르다'라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는 인도유럽조어 *strig- ('문지르다, 눌러서 고치다')에서 유래하였으며, strigil(낫 모양의 도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단어는 streak (명사)와 stroke (동사)와도 관련이 있으며, 고대 노르웨이어 striuka의 의미 발전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가다, 나아가다'의 의미는 strike for ('~을 향해 가다')와 같이 현대 영어에서도 일부 남아 있습니다.

전이적 의미인 '타격을 가하다'는 14세기 초반에 발전했습니다. '충돌하다, 부딪히다'는 14세기 중반에 나타났고, '망치로 치다'는 14세기 중반부터, '미사일로 치다'는 14세기 후반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철이 달궈졌을 때 치다' (strike while the iron is hot, 1560년대)는 대장장이 작업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취소하다' 또는 '지우다' (펜으로 긋는 것처럼)의 의미는 14세기 후반부터 나타났습니다. 15세기 중반부터는 '합의에 도달하다' 또는 '결론을 내리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strike a balance ('균형을 잡다')는 1530년대에 '계정을 맞추다'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습니다.

15세기 중반부터는 '타격이나 충격으로 불이나 불꽃을 일으키다' (예: 부싯돌을 쳐서 불을 붙이다)로 사용되었고, 성냥과 관련된 의미는 1880년대부터 나타났습니다. 번개나 천둥 같은 자연현상에 대한 의미는 14세기 후반부터 사용되었고, 질병과 관련된 의미는 1520년대, 신의 벌이라는 개념은 1570년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물체에 타격을 가해 각인을 남기다' (예: 동전 주조)는 15세기 중반부터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강한 인상을 남기다' 또는 '정신에 각인시키다' (1610년대)라는 비유적인 의미도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시계의 경우 '시간을 알리다' (자동사)는 15세기 초반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는 해머가 종을 치는 소리에서 유래했습니다. 특정 시간을 알리도록 '소리를 내게 하다' (타동사)의 의미는 1510년대부터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strike a pose ('포즈를 취하다'), strike an attitude ('특정 자세를 취하다')와 같은 표현은 1825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우연히 발견하다' (특히 석유나 아이디어와 같은 것)가 1835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는 금광 채굴이나 우물 파기와 관련된 맥락에서 발전했습니다. 이로 인해 strike it rich ('큰돈을 벌다', 1854년)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야구에서 이 단어의 사용은 1853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의미는 이전과 달라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strike (명사)를 참조하세요).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용주에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하다' ('파업하다')라는 의미는 1768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작업 도구를 내리거나 중단하는 행동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또는 항해사들이 배의 돛을 내리면서 바다에 나가기를 거부하는 상징적인 행동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습니다 (1768년). 이는 원래 '평평하게 하다' 또는 '매끄럽게 하다'라는 의미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strike가 '내리다' (예: 돛을 내리다)로 사용된 것은 13세기 초반부터이며, 이후에는 경의를 표하기 위해 깃발이나 기를 내리는 행동도 포함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항복이나 굴복의 의미로도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텐트를 내리거나 (1707년) 극장 무대를 철거하는 것과 같은 의미도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strike(n.)

1580년대에 "타격을 가하는 행위, 먹이에 대한 타격이나 돌진"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이는 strike (동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이전에는 striking (명사)라는 형태로, 약 1400년경에 사용되었습니다.

"일단체의 근로자들이 일시적으로 일을 중단하는 것"이라는 의미는 1810년부터 사용되었으며, 특히 general strike (총파업)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의 확장, 즉 hunger strike (단식 투쟁)과 같은 표현은 1889년부터 나타났습니다. Strike-breaker (파업 저지자)라는 단어는 1904년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야구에서 이 단어는 1841년부터 기록되었으며, 원래는 "공에 맞는 것, 즉 공과의 접촉"을 의미했습니다. 이는 공이 어디로 가든 상관없이 사용되었죠. 공이 규정 구역에 떨어지지 않았다면 foul strike (파울 스트라이크)라고 불렸고, 이는 1874년경에 나중에 foul ball (파울 볼)로 알려질 개념으로, 타자가 놓친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hit (명사)가 "공을 플레이에 넣는 접촉"을 의미하게 되고 득점을 할 수 있는 경우로 자리잡으면서, strike는 "파울 스트라이크"와 "스윙 후 미스"를 가리키는 용어로 남게 되었고, 이 두 가지 모두 타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이러한 의미들은 1890년대에 확립되었습니다. 타자에 대한 정의로는 "공을 치려는 실패한 시도"가 1896년에, 투수에 대한 정의로는 "홈 플레이트를 넘어 타자가 스윙해야 한다고 심판이 판단하는 공"이 1891년에 나타났습니다.

비유적인 표현으로 two strikes (두 번의 스트라이크)가 주어졌다는 것은 "세 번의 기회 중 두 번이 실패했다"는 의미로, 1938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strike zone (스트라이크 존)은 "타자의 어깨와 무릎을 상단과 하단으로 하고 홈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측면으로 하는 가상의 직사각형"을 의미하며, 1927년부터 등장했습니다. 야구에서 K가 "삼진"을 의미하는 약어로 쓰이는 것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볼링에서의 의미, 즉 "한 공으로 모든 핀을 쓰러뜨리는 것" (가끔 ten-strike라고도 함)은 1859년부터 기록되었습니다. "갑작스러운 군사 공격"이라는 의미는 1942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연결된 항목:

15세기 후반, "질책"이라는 의미; 1590년대, "타격, удар"이라는 의미로 hit (v.)에서 유래. "성공적인 연주, 노래, 사람" 등의 의미는 1811년부터 "표적을 맞추다, 성공하다"라는 동사적 의미에서 유래 (1400년경). 범죄 하위문화 속어로 "살해"라는 의미는 1970년부터 계획적으로 죽이다라는 범죄 속어 동사에서 유래 (1955년). "마약의 투여"라는 의미는 1951년부터 hit the bottle와 같은 구절에서 유래.

열한 번째 로마 문자로, 그리스어 kappa에서 유래되었으며, 페니키아어 kaph 또는 유사한 세미틱어에서 유래되었고, 문자 그대로 "손의 움푹 패인 부분"을 의미한다고 하며 그 형태 때문에 그렇게 불렸습니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는 대부분의 단어가 -c- (그리스어 감마에서 유래된 문자)를 사용하는 철자법에 맞추어졌습니다 (예외는 의례적 중요성을 가졌습니다). 후기 라틴어에서는 -c-의 발음이 "s" 방향으로 바뀌었고, 그리스 이름이 라틴어로 들어올 때도 -c- 철자로 규칙화되었으며, 이후 후기 라틴어 음성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따라서 현대의 Cyrus, Circe 발음이 생겼습니다. 이 변화 이후 라틴어로 들어온 많은 그리스어 단어들 (종종 교회 관련 단어들)은 발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 라틴어 -k-를 그리스어 카파에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K-는 중세 라틴어에서 -c-의 보조 문자로, 그리스어 및 외래 단어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라틴어에서 유래된 대부분의 언어들은 음성 변화에 대한 다른 해결책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적었습니다.

고대 영어에서도 K-는 드물었습니다. 노르만 정복 이후, 새로운 필기 습관이 -c-를 제한하고 -k-의 사용을 확장시켰으며, 13세기부터 영어 철자에서 일반화되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c-의 음가가 프랑스어에서 변화하고 있었고, 다른 문자가 영어에서 작업하는 필기자들에게 "k" 소리를 명확히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C를 참조하십시오.

아랍어, 히브리어, 터키어, 일본어, 하와이어 등에서 음역된 단어에서는 여러 다른 소리를 묶어서 나타냅니다. 현대 사용에서는 그 중 일부가 이제 kh-로 표기되었으며, 오래된 차용어에서는 전통적인 영어 철자를 따랐고 C- (Corea, Caaba 등)로 쓰였습니다.

potassium의 기호로, 라틴어 kalium "재"를 나타냅니다. 상업 인쇄를 위한 색상 시스템인 CMYK에서는 "검정"을 의미하지만, 전문 인쇄 의미에서 key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입니다. "천 달러"를 의미하는 속어는 1970년대에 kilo-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용량의 측정 단위로서 K는 "천"을 의미하며 kilo-의 약어입니다.

야구 점수 기록에서 "스트라이크 아웃"을 나타내는 기호로 1874년부터 사용되었으며, struck의 마지막 글자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점수 카드 기호의 발명은 1858년부터 야구를 써온 영국 태생의 미국 신문 기자 헨리 채드윅 (1824-1908)에게 귀속되며, 그는 주로 옛 뉴욕 "Clipper"에서 활동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Smith was the first striker, and went out on three strikes, which is recorded by the figure "1" for the first out, and the letter K to indicate how put out, K being the last letter of the word "struck." The letter K is used in this instance as being easier to remember in connection with the word struck than S, the first letter, would be. [Henry Chadwick, "Chadwick's Base Ball Manual," London, 1874]
스미스가 첫 번째 스트라이커였고, 세 번의 스트라이크로 아웃되어, 첫 번째 아웃을 나타내는 "1"과 어떻게 아웃되었는지를 나타내는 K로 기록되었으며, K는 "struck"라는 단어의 마지막 글자입니다. 이 경우 K는 "struck"라는 단어와 연결하여 기억하기 쉬운 것으로 사용됩니다. [헨리 채드윅, "Chadwick's Base Ball Manual," 런던, 1874]
광고

strike 의 추세

books.google.com/ngrams/에서 발췌. N그램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strike 공유하기

AI-생성 번역. 원본 페이지 보기: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strike

광고
인기 검색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