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플이 3박자의 음악에 맞춰 추는 원형 춤으로,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유행한 패셔너블한 춤입니다. 이 춤은 아마도 보헤미아 지역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며, 1779년 walse라는 용어가 프랑스어 번역을 통해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의 영어 번역에 등장합니다. 이는 독일어 walse;에서 유래하며, 독일어 Waltzer는 walzen에서 유래한 것으로, '구르다, 춤추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단어는 고대 고지 독일어 walzan에서 '돌다, 굴러가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단어는 프로토-게르만어 *walt-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고대 노르드어 velta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뿌리는 인도유럽조어 *wel- (3)로, '돌다, 회전하다'라는 뜻입니다. 관련된 동사로는 중세 영어 walt (v.) '뒤집다, 뒤집히다; 솟구치다, 물결치다' (약 1200년 경)와 지방 방언 walter '휘청거리다, 비틀거리다'가 있습니다. welter와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1825년에는 "소란스럽고 외설적인 독일 춤"이라고 묘사되었습니다 [Walter Hamilton, "A Hand-Book or Concise Dictionary of Terms Used in the Arts and Sciences"].
The music struck up a beautiful air, and the dancers advanced a few steps, when suddenly, to my no small horror and amazement, the gentlemen seized the ladies round the waist, and all, as if intoxicated by this novel juxtaposition, began to whirl about the room, like a company of Bacchanalians dancing round a statue of the jolly god. "A waltz!" exclaimed I, inexpressibly shocked, "have I lived to see Scotch women waltz?" [The Edinburgh Magazine, April 1820]
음악이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무용수들이 몇 걸음 나아갔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제가 경악하고 놀란 것은, 신사들이 숙녀들을 허리춤에 붙잡아 세우고, 모두가 이 새로운 조화에 취한 듯 방 안을 돌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마치 바카네일리들이 즐거운 신의 동상을 중심으로 춤추는 것처럼요. "왈츠다!" 저는 믿을 수 없는 충격을 받으며 외쳤습니다. "스코틀랜드 여성들이 왈츠를 추는 것을 내가 목격하다니!" [The Edinburgh Magazine, 1820년 4월]
[T]he waltz became a craze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a double-dactylic, joyful experience of liberation, breaking resolutely away from the proscriptions of the minuet and the philosophy inherent in the minuet, which had emphasized a pattern of order and reason overseen by a sovereign, the individual submerged in the pattern. [Miller Williams, "Patterns of Poetry"]
[왈츠는] 18세기 말에 광풍처럼 퍼졌습니다. 이는 이중 다각형의 형태로, 기쁨과 해방의 경험을 제공하면서, 미뉴엣의 규제를 단호히 깨뜨렸습니다. 미뉴엣은 질서와 이성을 강조하며, 군주가 지배하는 패턴 속에 개인이 억압되는 철학을 내포하고 있었죠. [Miller Williams, "Patterns of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