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후반, "봉투에 붙어 있는 편지에 인장이 달린 свобод한 끝에 매달린 띠"라는 의미로, 프랑스어 queue "꼬리"에서 유래, 고대 프랑스어 cue, coe, queue "꼬리" (12세기, 또한 "남근" 의미)에서, 라틴어 coda (방언 변형 또는 대안 형태 cauda) "꼬리"에서 유래 (참조 coda, 비교 cue (n.2)).
16세기 영어에서 "짐승의 꼬리"라는 문자적 의미로도 사용, 특히 Heraldry에서. "무용수들의 줄" (약 1500년경)로의 은유적 확장은 "사람들의 줄, 기타" (1837년)로의 확장된 의미로 이어졌으며, 그러나 영어에서 이 사용은 아마도 프랑스어에서 직접 유래한 것으로 (queue à queue, "하나씩"은 19세기 초 영어 및 미국 군사 사전에서 나타남).
If we look now at Paris one thing is too evident: that the Baker's shops have got their Queues, or Tails ; their long strings of purchasers arranged in tail, so that the first come be the first served,—were the shop once open! This waiting in tail, not seen since the early days of July, again makes its appearance in August. In time, we shall see it perfected, by practice to the rank almost of an art ; and the art, or quasi-art, of standing in tail becom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isian People, distinguishing them from all other Peoples whatsoever. [Carlyle, "The French Revolution," 1837]
이제 파리를 바라보면 한 가지는 너무 분명하다: 빵집에서는 Queues, 즉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긴 구매자 줄이 in tail로 배열되어, 먼저 오는 사람이 먼저 서비스받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가게가 한 번 열리면! 7월 초 이후로 보이지 않던 이 꼬리에서의 대기 방식은 8월에 다시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이것이 거의 예술 수준으로 발전할 것을 볼 것이며; 그리고 이 꼬리에서 서 있는 예술 또는 준예술이 파리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가 되어, 그들을 다른 모든 사람들과 구별할 것이다. [칼라일, "프랑스 혁명," 1837년]
처칠은 노동당 또는 사회주의 정부 아래의 영국을 묘사하기 위해 Queuetopia (1950년)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세기에는 "뒤에서 흘러내리는 머리카락의 땋음" (1748년 증명) 의미로도 사용, 원래는 가발의 일부였으며, 18세기 후반에는 머리의 머리카락을 의미.
QUEUE. From the French, which signifies tail; an appendage that every British soldier is directed to wear in lieu of a club. Regimental tails were ordered be nine inches long. [William Duane, "A Military Dictionary," Philadelphia, 1810]
QUEUE. 프랑스어에서 유래, 꼬리를 의미; 모든 영국 군인이 곤봉 대신 착용하도록 지시받는 부속물. 연대 꼬리는 9인치 길이로 정해졌다. [윌리엄 듀안, "군사 사전," 필라델피아, 1810년]